A Study on Property Rights with respect to the Outer Space

우주공간에서의 재산권에 관한 소고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Denying the legitimacy of occupying any parts of the outer space satisfied the political interests of space fairing States. 'Res communis' idea was converted into the rationale which met such political needs in the best way available. This rationale, as its roman law concept implies, is based upon ownership to things. Ownership paradigm, as discussed in this paper, may be not sufficient for applying the OST. A new paradigm may be more valuable. Diversified type of the right to use would be best available one. Space commercialization should be understood in social and economical dimension, which is too diverse and important for space lawyers, especially adhering to ownership paradigm, to deal with. It is mature to admit that res communis rationale operated for 40 years is not sufficiently refined to foster the advent and benefit expected from space commercialization. Diversified type of right to use is to be taken into account seriously, as workable paradigm provided by other social science.

1967년 우주조약은 우주공간의 비영유원칙 등을 천명하면서 우주공간의 이용에 관한 인간의 활동을 규율함에 있어서 소유권에 초점을 두고 있다. 우주공간의 공유물이론 등에 의해서 그와 같은 취지의 조문들이 규정되어 있다. 1967년 우주조약의 기본 법리는 그와 같은 차원에서 res communis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주공간의 법적 지위, 및 우주공간과 영공간의 경계 등이 획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러한 법리는 우주공간에서의 이용의 자유 내지는 항행의 자유를 인정하는 반면에, 실제적으로 우주공간의 이용에 관한 제반 원칙을 형성하는 데에는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우주공간의 소유에 관한 법리가 아니라, 새로운 법리에 의해서 우주공간을 이용하는 활동을 규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우주공간의 소유권과 관련없는 이용권의 부여에 관한 법리가 대안이 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