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분류체계를 이용한 수질변화의 경제적 가치 추정

Valuing the Water Quality Changes in Paldang Watershed: Using New Water Quality Classification Criteria and Indices

  • 김용주 (서울디지털대학교 경영학부) ;
  • 유영성 (경기개발연구원 팔당물환경센터)
  • 발행 : 2008.12.31

초록

본 연구는 일반인들이 알기 쉬운 새로운 등급기준을 이용하여 팔당호 유출입 물의 수질변화가 지니는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현재 '좋음' 등급인 팔당호 유출입 물이 '약간 좋음' 또는 '보통' 등급의 수질로 악화되면 평균적인 가계의 효용도 매월 5,221원 또는 9,649원 하락할 것이므로, 수도권 가계의 사회적 효용도 연간 4,718억 원 또는 8,720억 원 하락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만일 현재 수질이 '매우 좋음' 등급으로 개선된다면 평균적인 가계의 효용도 매월 3,157원 증가함으로써 수도권에 연간 2,853억 원의 가치상송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의 시간제약하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환경재 속성들을 이해하고 그 선택문제까지 학습해야 하는 일반 응답자들에게 과도한 정보부하량(information overload)을 주는 경향이 있는 CE(choice experiment)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수질 속성에 대하여 보다 알기 쉬운 용어를 사용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article estimates the economic values of changes in water quality of the Paldang Watershed by using the Choice Experiment (CE). The conditional logit model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a small improvement in water quality from the 'status quo' level to the level of 'very good' increases average household's monthly utility by 3,157 Won, whereas a water quality degradation down to the 'normal' level gives rise to an increase in the monthly average utility by 9,649 Won. The corresponding social gain and loss of water quality changes to the Metropolitan Area were thus estimated about 285 billion Won and 872 billion Won, respectively. This article seems meaningful in that it resorts to the new water ecosystem classification criteria and indices that are respondent-friendly. They help a CE study like this to overcome one of its critical weakness that the number and contents of attributes of a CE study can quickly add to the information overload problem, especially where the environmental good under investigation is hard for ordinary respondents to understan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