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생들의 과학 및 기술 관련 일하는 장소와 직업에 대한 인식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n Scientific or Technological Workplaces and Relevant Professions

  • 발행 : 2008.12.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다양성, 정확성, 구체성 측면에서 학생들의 과학 및 기술 관련 일하는 장소와 직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연구 대상은 서울, 대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1학년 185명, 중학교 3학년 192명,고등학교 1학년 198명이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과학 및 기술 관련 일하는 장소에 대한 이미지는 주로'일반적 관점'이었고, 실험실, 공장, 정비소 같은 몇 가지 장소에 편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구체성 측면에서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학생들은 과학 및 기술 관련 일하는 장소에 대한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대중 매체나 학교 교육 등을 제시했다. 학생들이 제시한 과학 및 기술 관련 직업 예시들은 몇 가지 직업에 편중되어 있었고, 그 수도 적은 편이었다. 학생들은 과학 관련 직업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기술 관련 직업에 대해서는 모호한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awareness on the scientific and/or technological workplaces and relevant professions in terms of accuracy, diversity and complexity. Participants were 185 7th-, 192 9th-, and 198 10th-graders in Seoul, Daegu, and Gwangju.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ideas about scientific and/or technological workplaces were general in nature and were stereotyped as certain workplaces such as a laboratory, factory and garage. Their idea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y grade in view of complexity. Many students also answered that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ir ideas about scientific and/or technological workplaces were mass media and/or school education. The students' examples of scientific and/or technological professions were stereotyped as some professions, and the number of examples were very small. Students perceive the scientific professions accurately, but they have a vague perception of the technological profession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고한중, 전경문, 노태희 (2002).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STS 내용 분석. 초등과학교육, 21(2), 289-296
  2. 공영주, 장현숙, 최경희 (2006). 양성 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중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의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9(2), 373-390
  3. 교육부 (1997). 제 7차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4. 김희경, 송진웅 (2003). 과학 실험의 목적에 대한 중 학생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54-264
  5. 류창렬 (2000). 기술 및 관련 용어에 관한 어의학적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 46-57
  6. 양미경, 김소연, 여성희 (2005). 제 7차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진로교육 관련 내용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3), 338-349
  7. 여상인 (1998). 변형된 DAST와 인터뷰를 이용한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자가 하는 일에 관한 초-중등 학생의 인식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1), 1-10
  8. 윤진, 박승재, 명전옥 (2006). 과학 진로와 관련된 초중등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675-690
  9. 장명덕, 이명제 (2004). 초등학교 6학년생들의 과학자의 생활시간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118-1130
  10. 조희형 (1998). 과학-기술-사회와 과학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1. 진로교육학회 (1999).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교육과학사
  12. 진미석, 윤형한 (2002). 이공계 기피현상과 고등학생 진로지도. 한국진로교육학회지, 15(2), 1-21
  13. 최경희 (1995). 중.고등학생들의 과학-기술-사회(STS)에 관련된 문제와 STS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73-79
  14. 홍미영, 정은영 (2004). 중학교 과학 교과서와 수업에 반영된 STS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659-667
  15. Finson, K. D., Beaver, J. B., & Cramond, B. L. (1995). Development and field test of a checklist for the draw-a-scientist tes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4), 195-205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5.tb15762.x
  16. Laugksch, C. R. (2000). Scientific literacy: A conceptual overview. Science Education, 84(1), 71-94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1)84:1<71::AID-SCE6>3.0.CO;2-C
  17. Liu, C., & Yager, R. E. (1996).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in science education. Albany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8. McComas, W. F. (1999).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 Scherz, Z., & Oren, M. (2006). How to change students' images of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Education, 90(6), 965-985 https://doi.org/10.1002/sce.20159
  20. Shamos, M. H. (1995). The myth of scientific literacy. Rutgers, NJ: Rutgers University Press
  21. She, H-C. (1995).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mage of science and scientist related to current science textbooks in Taiw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4(4), 283-294 https://doi.org/10.1007/BF02211260
  22. Simpson, R. D., Koballa, T. R., Oliver, J. S., & Crawley, F. E. (1994). Research on the affective dimension of science learning. In D. L.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211-234).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23. Smith, W. S. (1987). Foward: The search for excellence in science teaching and career awarenes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81723)
  24. Song, J. W., & Kim, K. S. (1999). How Korean students see scientists: The image of the scientis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9), 957-977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255
  25. Weber, S., & Mitchell, C. (1996). Drawing ourselves into teaching: Studying the images that shape and distort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ing Education, 12(3), 303-313 https://doi.org/10.1016/0742-051X(95)00040-Q
  26. Woolnough, B. E. (1994). Factors affecting students' choi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6), 659-676 https://doi.org/10.1080/0950069940160605
  27. Yager, R. E. (1993).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3), 145-150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3.tb12213.x
  28. Ziman, J. (1980). Teaching and learning about science and socie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