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화 정도가 다른 탐구 상황에서 과학영재들이 생성한 과학탐구문제 비교 분석

Analysis of the Scientific Inquiry Problem Generated by the Scientifically-Gifted in Ill and Well Inquiry Situation

  • 발행 : 2008.12.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들의 과학탐구문제발견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지도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낮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과 높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에서의 문제발견 활동 중에 과학영재들이 생성한 과학탐구문제의 특성에 대해 심층적인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결과, 탐구목적에 따른 유형별 빈도는 탐구 상황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두 활동에서 생성된 대부분의 탐구문제들은 7개의 동일한 유형(측정, 방법, 원인, 가능성, 무엇, 비교, 관계)으로 나타났다. 탐구문제에 언급된 과학적 개념의 빈도수는 높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에서의 문제발견 활동(PFAWIS)이 낮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에서의 문제발견 활동(PFAIIS)보다 더 많았으나, 과학적 개념의 다양성은 PFAIIS가 PFAWIS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는 첫째, 낮게 구조화된 과학적 탐구 상황에서의 과학문제발견 활동의 기회를 자주 부여해야한다. 둘째, 일반 과학 실험 중에도 새로운 탐구문제를 발견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실험 중에 생성한 탐구문제들에 대해 토의하는 시간을 자주 가질 필요가 있다. 셋째, 과학탐구문제를 최소한 7개 이상의 유형별로 생성할 수 있도록 지도하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instructional direction for improving scientific inquiry problem-finding ability of the scientifically-gift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made an in-depth analysis of the scientific inquiry problems generated by the scientifically-gifted in Problem-Finding Activity in Ill-structured Inquiry Situation (PFAIIS) and Problem-Finding Activity in Well-structured Inquiry Situation (PFAWIS). The results of this study turned out to b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problems generated in PFAIIS and PFAWIS could be categorized into seven types (measurement, method, cause, possibility, what, comparison,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inquiry objectives, while the frequency of each type shown in each inquiry objective was a little different. Second, the frequency of scientific concepts stated in inquiry problem was more in PFAWIS than in PFAIIS. But the scientific concepts were shown more diversely in PFAIIS than in PFAWIS. Therefor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offer various opportunities of problem-finding activity under ill-structured scientific Inquiry situation. Second, it is needed to emphasize that a new inquiry problem can be found out even during general scientific experiment and frequently to discuss inquiry problems generated during an experiment. Third, it is needed to encourage the scientifically-gifted to generate a scientific inquiry problem based on at least more than seven types.

키워드

참고문헌

  1. 남정희 (1996). 화학 실험에서 탐구 과정기능의 평가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류시경, 박종석 (2006). 낮게 구조화된 과학적 문제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문제발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65-774
  3. 류시경, 박종석 (2008).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39-149
  4. 박종원 (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5. 박종원 (2005). 학생의 과학적 탐구문제의 제안과정과 특성 분석. 새물리, 50(4), 203-211
  6. 이혜주 (2005). 구조화 정도가 다른 문제 상황에서 문제발견에 대한 제 변인의 상대적 기여도 분석. 초등교육연구, 18(2), 123-148
  7. 전윤식, 김정섭, 윤경미 (2003).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 문제 찾기. 교육학연구, 41(3), 215-238
  8. 정현철, 조석희, 서혜애, 신명경, 허남영 (2004). 영재의 자율연구능력 기초탐색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2004-43
  9.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einhait & Winston
  10. Dudek, S. Z., & Côtê, R. (1994). Problem Finding Revisited. In M. A. Runco(Ed.),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pp. 130-150).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1. Feldhusen, J. F. (1986). A Conception of Giftednes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112-12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Getzels, J. W., & Csikszentmihalyi, M. (1976). The Creative Vision: A Longitudinal Study of Problem Finding in Art. New York: John Wiley
  13. Hoover, S. M., & Feldhusen, J. F. (1990). The Scientific Hypothesis Formulation Ability of Gifted Ninth-Grad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4), 838-848 https://doi.org/10.1037/0022-0663.82.4.838
  14. Jay, E. S., & Perkins. D. N. (1997). Problem Finding: The Search for Mechanism. In M. A. Runco (Ed.), The Creativity Research Handbook (Volume I), (pp. 257-293). NJ: Hampton Press
  15. Runco, M. A. (1994).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6. Treffinger, D. J., Isaksen, S. G., & Dorval, K. B. (2000).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3rd Eds.), Texas: Prufrock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