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ection for Improving Cost Estimation and Management of Construction Projects : Comparing to Australian System

건설공사 공사비 예측 및 관리기술 발전방향 : 호주 사례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Cost of construction project have to be estimated based on drawing before execution. Cost estimate and check would be performed numerously for preparing general outline of requirements and determining the budget at conceptual planning stage, for obtaining decision on every matter related to design, specification, construction and cost at design stage, and for predicting bidding cost. Thus, importance of cost estimation cannot emphasize too much in construction. However, there are lack of standard estimation method, process, and cost analysis method, that square foot estimation method is as used as eyer, in Korea. Thus, This research present the direction for improving cost estimation and management in construction; It is demanded that establishing standard data base methodology, multi-level database model CUBE, and standard cost planning process, choosing cost estimation methodology according to objectives and cost planning process, and making more experts.

건설 프로젝트는 생산과정 이전에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예상되는 비용이 산정되며, 기획단계는 소요예산을 책정하고 설계단계는 예산에 합당한 효율적 대안을 찾으며, 정확한 입찰금액을 예측하기 위해 수차례 이루어진다. 특히, 물량산출 이전까지 예측되는 공사비의 정확도와 신뢰도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면적당 단가 방식 공사비 예측을 벗어나지 못할 뿐 아니라, 단계별 예측방법, 프로세스, 데이터 분석 및 관리기술 등이 표준화되어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국내 공사비 예측기술 및 관리기술 발전을 위하여 첫째, 표준화된 공사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국가차원의 종합적 관리가 필요하며, 구축 방법으로 다차원 공사비 데이터베이스 개념모델 CUBE를 제시하였다. 둘째 단계별 공사비 예측의 목적에 맞는 코스트 모델 적용이 필요하며, 코스트 모델의 방법론을 기획단계와 설계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이러한 두 가지 코스트 모델을 적용한 코스트 플래닝 프로세스를 제시하였고, 넷째, 공사비 예측 및 관리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3). 설계도서 작성기준, 건교부 고시 제 2003-11호, 건설교통부
  2. 김광희, 강경인 (2003). '공동주택 프로젝트의 초기 공사비 예측을 위한 신경망 학습에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 모 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 19권 10 호, 대한건축학회, pp. 133-142
  3. 김광희, 강경인 (2004). '유전자 알고리즘에 의한 신경망 구조의 최적화를 이용한 공동주택 초기 공사비 예측에 관 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눈문집 구조계, 제 20권 2호, 대한 건축학회, pp. 81-88
  4. 김문한 (2006). 건축생산관리학, 기문당, pp.251-253, 255, 260
  5. 김원태, 윤찬호(2006).해외공공 발주자 사업비 관리 및 실적 공사비 활용 실태 조사 -미국, 영국-, 한국건설산업연구원
  6. 김수진 (1999). '공동주택에서 주요물량을 이용한 공사비 예측 모델 개발',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19권 1 호, 대한건축학회, pp.531-536
  7. 박우열 외 3인 (2002), '신경망이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초 기사업비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 18권 7호, 대한건축학회, pp.155-162
  8. 박현석 외 3인 (1999). '실적공사비 기반의 개략견적 시스 템 개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 19권 2호, 대한 건축학회, pp.938-943
  9. 박효열 외 2인 (2004). '공동주택 실적공사 표준 DB를 이 용한 COST MODEL',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 20 권 5호, 대한건축학회, pp. 129-136
  10. 손보식 (2005). '영향변수에 따른 수량변화 분석 기반의 건축공사비 개산견적 모델',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11. 이유섭 (2003). '코스트 중요항목 분석을 통한 공사비 예 측모델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 4권 4호, 한국 건설관리학회, pp.212-219
  12. 전석한, 최인성 (2005). '실적공사비 산정시스템에 관한 연구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시공학회논문집 제5권 1호, 한국건축시공학회, pp.111-121
  13. 일본 도시재생기구 본사 기술코스트 관리실(2006). '임대주 택 주체공사비 기준금액 일람표, 평성 18년도', 도시재생기구
  14. AIQS (2006). AIQS annual report
  15. Australian Cost Management Manual Volume 1 (2006). 3rd edition, AIQS
  16. Ivor H. Seeley (1997). Quantity Surveying Practice, 2nd edition, Antony Rowe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