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s of Attribution Tenden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초등 영재와 일반학생간의 학업성패에 대한 귀인성향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의 차이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by comparing their attribution tenden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verify the attribution tenden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f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5 gifted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from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nd 105 general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gifted students showed a higher score on the success attribution while the general students showed a higher score on the failure attribution Second, the gifted students showed a higher score on all over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with its subordinate factors. Third, the gifted students in humanity showed a higher score on the control factor of cognitive strategy, the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on the action control factor of motive strategy and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on the other subordinate factors and all over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Fourth, the boys showed a higher score on the factor of action control while the girls on all the other subordinate factors and all over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업성패에 대한 귀인성향과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상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교육청 주관 영재교육원과 대학교 부설 영재교육원에 다니고 있는 초등학교 5$\sim$6학년 영재와 일반학생 각각 105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패에 대한 영재와 일반학생의 귀인성향의 차이는 능력 요인에서 나타났다. 즉 영재는 일반학생에 비해 성공을 능력요인으로 귀인하는 성향이 높았으며, 일반학생은 영재에 비해 실패를 능력부족으로 귀인하는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는 일반학생보다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능력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영재가 인문영재보다 숙달목표를 더 지향하는 젓으로 밝혀졌으며, 영재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학습에 대한 성취 가치를 더 많이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수(1998).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나동진, 김진철(2004). 삼원지능, 사고양식,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구조적 차이. 교육심리연구. 18(1). 115-130
  3. 노신자(2002). 영재와 일반아동의 자기조절학습과 창의적 성격의 차이.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문병상(2000). 영재와 평재간의 학업적 자기조절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14(1). 181-197
  5. 박영신(1989). 한국학생이 지각한 학업에 대한 성패귀인과 학습동기화 과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서주연(2004). 영재와 평재 간의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상의 차이.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신영회(2005). 중학교 과학, 수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적 자기 조절동기 유형 및 실패에 대한 내성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양명희(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윤석영(2008).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사고양식, 목표지향성, 귀인성향 간의 관계. 대구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혜원(1989). 학업성취에 대한 아동과 부모의 귀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임혜숙(1997). 영재아동의 행동특성에 관한 일연구: 기관영재, 일반영재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1(3)
  12. 장숙진(2005). 학습부진아와 학습우수아의 시험불안, 지각된 성취압력 및 실패귀인성향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전성연, 최병연 역(1999). 학습동기. 학지사
  14. 정미경(2007). 자기조절학습과 창의적, 비판적 사고력간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6(1). 163-182
  15. 황희숙, 임소혜, 윤소정(2006). 영역별 영재와 일반아동의 사고양식과 학습양식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14(1). 261-288
  16. Bar-Tal, D. (1985). Attribution theory of human development. In Husen, T. Postlethwaite, T. N.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Pergamon Press
  17. Bouffard-Bouchard, T., Parent, S. & Larivee, S. (1993). Self-regulation on a conceptformation task among average and gifted student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56. 115-134 https://doi.org/10.1006/jecp.1993.1028
  18.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19. Reis, S. & Small, M. (2005). Characteristics of diverse gifted and talented learners. In Karnes and Beanes (Eds.), Methods and materials for teaching the gifted (2nd ed.). Prufrock Press
  20. Risemberg, R. & Zimmerman, B. J. (1992). Self-regulated learning in gifted students. Roeper Review, 15(2). 98-101 https://doi.org/10.1080/02783199209553476
  21. Weiner, B. (1972). Theories of motivation. Chicago: Rand-McNally
  22. Zimmerman, B. J. & Ma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 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51-59 https://doi.org/10.1037/0022-0663.8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