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onstructivist Science Program on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among Young Children

구성주의 과학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A science program based on constructivism was adopted to 24 preschoolers during 13 classes in a semester. Performance in TTCT and science problem solving task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hen their performance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same educational centers, it was shown that they outperformed in both creativity measures and science problem solving task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is science program.

아동의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활동을 지향하는 구성주의 과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13주에 걸쳐서 실시한 집단(26명)과 비교집단(27명)을 대상으로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의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이 모두 향상되었다. 창의성중 뚜렷한 향상을 보인 영역(유창성, 독창성, 정교성)과 그렇지 않은 영역(개방성, 추상성)이 발견되었다. 반면 모든 문제해결력의 영역(문제의 발견 및 진술, 문제에 대한 아이디어 제안 및 적용능력, 문제에 대한 결론짓기)에서는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효과에 있어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1997).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에 대한 간략한 고찰. 교육공학연구. 11(2). 3-20
  2. 곽혜경, 조복희 (2002). 과정이 살아있는 창의성 프로그램. 경희대학교 아동연구센터편. 서울: 다음세대
  3. 김보선 (1999). TTCT에 대한 미국인과 한국인의 반응결과의 차이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연옥 (2004). 구성주의 유아과학 프로그램이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영채 (2004). 한국판 TTCT-B형, 표준화 창의력검사 요강. 개정2판. 토란스 창의력 한국 FPSP/현곡 R&D
  6. 김현희 (2002). 유아 과학활동이 중류층 유아와 저소득층 유아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영란 (1999). 구성주의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9. 안부금 (2002).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원은실 (1998). 탐구학습 중심 과학 교육 방법이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1. 유경숙 (1999). 구성주의에 기초한 밀가루점토활동 구성방식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개념, 과정기술 및 태도의 차이분석. 중앙대 유아교육학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유경숙 (2005). 구성주의와 유아교과교육 지도원리: 유아과학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14(2). 301-315
  13. 이경우, 조부경, 김정준 (1999). 구성주의 유아과학프로그램. 서울: 창지사
  14. 장경혜 (1994). 탐구학습 중심 과학 교수 방법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5. 조일호 (1991). 연구학습모형에 의한 학습이 창의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6. 홍기량 (2000). 과학교육 접근방법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문제해결능력 차이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황휘정 (2004). 실험구성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8. Castle, K. (1997). Constructing knowledge of constructivism.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18(1). 55-67
  19. Chaille, C., Britain, L. (1991). The young child as a scientist. New York: Longman
  20. Erikson, E. H. (1982). The life cycle completed: A review. New York: Norton
  21. Forman, G. E., & Hill, D. F. (1984). Constructive play: Applying Piaget to the preschool. Reading., MA: Addison-Wesley
  22. Fosnot, G. E. (1996).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3. Kamii, C., & DeVries, R. (1978). Physical knowledge in preschool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4. Novak, J. D. & Gowin, D. B. (1987). Learning how to lear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 Psychological Processes. In. M. Cole, V. John-Steiner, S. Scribner & E. Souberman (Eds. and tran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