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ult Location Estimation Algorithm in the Railway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s Using Flow Technique

반복계산법을 이용한 철도고압배전계통의 고장점표정 알고리즘

  • 박계인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부평정수사업소) ;
  • 창상훈 (고려대학교 차세대전력연구원센터) ;
  • 최창규 (서울산업대학교 전기공학과)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s in the electric railway system placed according track with communication lines and signal equipments. Case of the over head lines is occurrence the many fault because lightning, rainstorm, damage from the sea wind and so on. According this fault caused protection device to wrong operation. One line ground fault that occurs most frequently in railway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s and sort of faults is line short, three line ground breaking of a wire, and so on. For this reason we need precise maintenance for prevent of the faults. The most important is early detection and fast restoration in time of fault for a safety transit. In order to develop an advanced fault location device for 22.9[kV] distribution power network in electric railway system this paper deals with new fault locating algorithm using flow technique which enable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fault accurately. To demonstrate its superiorities, the case studies with the algorithm and the fault analysis using PSCAD/EMTDC (Power System Computer Aided Design/Electro Magnetic Transients DC Analysis Program) were carried out with the models of direct-grounded 22.9[kV] distribution network which is supposed to be the grounding method for electric railway system in Korea.

철도 고압배전선로의 경우 궤도를 따라 양방향으로 선로연변에 통신 및 신호설비와 병행하여 가공 또는 지중선로로 설치되어 있다. 가공선로의 경우에는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어 뇌격, 폭풍우, 염해 등 자연현상으로 인한 고장발생이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보호장치의 오 부동작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철도 고압배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사고 중 가장 많은 것은 1선 지락이지만 이밖에 선간 단락, 심할 경우에는 3선 지락(단락)으로까지 진전되는 사고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단선 사고까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상세한 점검보수가 필요하며, 고장발생시 조기발견과 신속한 고장처리는 철도안전수송에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 고압배전계통의 주류를 이루게 될 22.9[kV] 직접접지 계통을 대상으로 고장 발생시 고장 위치를 신속하게 표정할 수 있는 고장점 표정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22.9[kV] 고압배전계통을 모델링 하여 특성해석과 고장해석을 수행하였고, 정확한 고장점 표정이 가능한 반복계산법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으며, 사례연구를 통해 성능을 입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S..H. Chang, H..M. Lee et al 'Optimization of Protection System and Development of Diagnosis on the Electric Railway Equipment' KRRI Report pp.146-177, 2002. 3
  2. 'Protection of industrial and commercial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Wisconsin University, 2003. 4
  3. 'き電 System 技術講座', 鐵道總合技術硏究所, 1995. 9
  4. '電氣槪論 電燈電力シリーズ4, 配電線路設備', (社)日本 鐵道電氣技術協會, 1992
  5. 'A review of impedance-based fault locating experience', Iowa-Nebraska system protection seminar, October 1990
  6. 최면송 외 4인, '3상회로 직접해석에 의한 배전계통 1선 지락사고 고장거리 계산 알고리즘', 전기학회논문지, Vol.51, No.8, pp.409-416, 2002
  7. 최면송 외 4인, '3상회로 직접해석에 의한 송배전계통 선간단락 사고 고장거리 계산 알고리즘', 전기학회논문지, Vol.51, No.9, pp.467-473, 2002
  8. 日本電氣學會, '交流電氣鐵道における保護技術', 電氣學會技術報告 610號, pp.36-37, 1996.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