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학교 중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교과 운영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Recognition and Oper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pecialized Middle Schools among Alternative Schools

  • Bae, So-You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 Shin, Hye-Wo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발행 : 2008.03.31

초록

대안학교 중 정규학교 형태의 특성화 중학교를 대상으로 가정교과의 편성 및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가정수업에 대한 담당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6개 특성화 중학교의 교사와 면접을 실시하였고 그 중 3개 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205부의 응답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중학교의 기술 가정교과 교육은 대부분 국민공통기본교과인 기술 가정 교육과정 형태로 운영되나, 학교의 이념이나 특성에 맞게 상이하게 운영하는 학교도 있었다. 시수는 제7차 교육과정의 편성과 비교해 4개 학교에서 주당 1시간 적게 편성되고 있었다. 또한 각 학교별로 가정교과와 관련된 특성화 교과가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교과 운영 실태를 보면, 가정교과는 가정(부)전공 교사가 대부분 운영하고 있었으며, 자체 제작교재를 쓰는 한 학교를 제외하고는 모든 학교가 검정 교과서를 주 교재로 사용하였다. 교수학습 방법 및 교수매체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평가는 대부분의 학교가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를 고루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가정교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중 가정교과 교육의 의의는 가정의 행복 추구였으며, 목표는 가정의 행복을 실현, 세상을 보는 안목을 길러주는 것에 있었다. 교과 운영의 어려운 점으로는 열악한 실습실 여건을, 일반학교와의 차이점은 학생과의 의사소통이 활발한 점을 들었다. 넷째, 학생들은 기술 가정교과의 목표를 보통이하로 인식하였고, 가정수업에 대해서도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학생들의 가정수업에 대한 인식은 학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수업시수가 많고, 특성화 교과가 운영되는 경우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교만족도가 높고 가정(부)전공 교사에게 배운 학생들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상에서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교과 교육은 대부분 제7차 교육과정에 준해 운영되나 시수편성이 일반학교보다 적어 기초적인 교육내용의 이론위주의 가정수업이 될 수 있으므로 시수의 증편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체험을 할 수 있는 특성화 교과 운영은 가정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교사의 교과전문성에 따라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결과는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업 전반에 걸친 담당교사의 지속적인 노력과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전공 상근 교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specialized middle school in the form of regular school among alternative schools and analyze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home economics clas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of 6 specialized schools in order to determine the operation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Students' perceptions for home economics class were gathered through surveys with students from the 3 (of the original 6) schools that authorized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final analysis utilized 205 student responses.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home economics education within specialized middle schools was mostly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which is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Compared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clas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in 4 schools occurred 1 hour less each week. Each school incorporated various specialized curricula related to home economics. Second, as for the oper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pecialized schools, most home economics classes were conducted by teachers who had majored (or minored) in home economics. Moreover, all but 1 school, which used self-made materials, used the national textbook and dealt with the entire content of the textbook.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instructional media, various means were utilized. For evaluation methods, most schools based grades on paper-and-pencil tests(50-60%) and performance tests(40-50%). Third, among teachers' perception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meaning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as focused on practical help and the pursuit of home happiness; the purpose was to realize the happiness of students and their homes by applying these to actual living, and increase students' ability to see the world. In regards to difficulties in educational operations, most pointed out poor conditions of practice rooms. As for differences from general schools, most teachers mentioned the active communication with students. Fourth, through the home economics class, it was found that students perceived the goal of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a as lower than average. Among students' perceptions about home economics class, most were negative. Perceptions about goal of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a and home economics class also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school. Students of the school, which had more home economics class hours and specialized curricula related to home economics, perceived more positively. Also, students who were more satisfied with school and learned from a teacher who majored in home economics tended to perceive home economics class more positive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