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for Creativity Effect of Engineering Questions

공학적 발문의 창의성 효과 분석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desirable time to ask a question to effectively improve creativity as an engineering viewpoint and apply it to daily schedule as a diverse teaching method in daily schedule of young children's curriculum. Forty five young children among three kindergarten of G Metropolitan City, aged 5, were selected as a subject for this study. Type A of 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s, TTCT was used as an instrument, and the resistant score for the lower level of elements: Fluency, Ingenuity, Originality, Abstractness of Titles, hasty conclusion. The total score of creativity was highest in the 1st-time period ($M=95.52{\pm}12.21$).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desirable story-telling time should be after 10 a.m., the 1st-time period, to improve the highest creativity.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정의 일일운영계획에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으로 매일같이 활동하는 발문에 대한 교육 공학적 관점에서 언제 활동하는 것이 창의성 증진에 가장 효율적인가를 알아봄으로써 적정한 이야기나누기 시간을 일과에 적용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3개 유치원의 만5세아 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표준화된 창의성 도형검사 A형을 사용 하였으며, 하위요인별 구성요소는 유창성, 정교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점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창의성의 전체 점수는 1회차시가 $M=95.52{\pm}12.21$로써 가장 높았다. 따라서 유치원의 일과 중 이야기나누기는 1회차시인 10시부터 활동하는 것이 가장 높은 창의성 증진효과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1999), "유치원 교사활동지침서", 권1 총론.
  2. 교육인적자원부(2007), "2007개정된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153호.
  3. 김영채(2001),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4. 윤광보․김용욱․최병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이해", 서울:양서원, 2003.
  5. Anderson, K. M. (1997), "Integrating open hypermedia system with the World Wide Web", Proceeding of the Eighth ACM Corference on Hypertext(pp. 157-166).
  6. Guilford, J. P. (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 444-454. https://doi.org/10.1037/h0063487
  7. Seels, B. B. and R. C. Richey,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Washington, DC: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1994.
  8. Torrance, E. P. (1962), "Guiding creative talent", New Jersey: Prentice-Hall.
  9. Torrance, E. P. (1981b), "Thinking creatively in action and movement", Benseville, IL:Scholastice Testing Service.
  10. Williams, F. (1980), "Creativity assessment packet", Buffalo, NY: D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