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fulness of Serial Ultrasonography of the Rotator Cuff Repair

회전근 개 파열의 수술적 치료시 초음파 연속 검사의 유용성

  • Park, Jae-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Choi, Won-Ki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Choi, Chang-Hyu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박재현 (대구가톨릭대학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최원기 (대구가톨릭대학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최창혁 (대구가톨릭대학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Purpose: The findings of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ultrasonography (US) examination in the diagnosis of rotator cuff tear were then compared with the findings of arthroscopic examination, and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integrity of rotator cuff using serial US examination. Methods: Between February and May 2008, 29 patients with rotator cuff tear had undergone preoperative US and MRI examination and subsequent arthroscopic examination. And the results of MRI and US were compared with intra-operative results of the arthroscopic examination. We observed the postoperative integrity of rotator cuff using serial (postoperative 2 weeks, 6 weeks, 3 months) US examination. Results: The sensitivity of US and MRI for identifying rotator cuff tear were 100% and 100%. The sensitivity of US and MRI were 95% and 82% in full thickness tear, and 50%, 33% in partial thickness tear, respectively. Overall accuracy of US and MRI were 86%, 69%. Among 22 patients were operated for full thickness tear, intra-operative gap formation was identified in 11 patients (50%, small to medium 2 cases, large to massive 9 cases) which were identified at 2 weeks postoperative US. We could find 5 re-tears (23%, small to medium 1 case, large to massive 4 cases) on 6 weeks postoperative US after passive range of motion (ROM) exercise, and could also find 7 re-tears (32%, small to medium 2 cases, large to massive 5 cases)on 3 months postoperative US after active ROM exercise. Conclusion: Serial US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was useful to differentiate intra-operative gap formation from postoperative re-tear. We found 5 retears (23%) at 6 weeks and 7 retears (32%) at 3 months postoperative US, it was useful to make treatment plan during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목적: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수술 전의 자기 공명 영상 검사와 초음파 검사에 따른 관절경 소견을 비교하고, 수술 후 2주, 6주 및 3개월의 회전근 개의 건재 상태를 초음파로 확인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2월부터 5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회전근 개 파열로 관절경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29명을 대상으로 초음파 검사와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후 관절경적 시술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수술 후 2주, 6주 및 3 개월에 회전근 개의 건재 상태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회전근 개 파열을 확인할 수 있는 초음파 검사와 자기 공명 영상 검사의 예민도는 각각 100%였다.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초음파 검사와 자기 공명 영상 검사의 예민도는 각각 95%, 82%였으며, 부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초음파 검사는 50%, 자기 공명 영상 검사는 33%의 예민도를 나타내었다. 전체 환자에 대한 초음파 검사의 정확도는 86%, 자기 공명 영상 검사의 정확도는 69%이었다. 전층 회전근 개 파열로 복원술을 시행한 22예 중 수술 후 2주에 시행한 추시 관찰 초음파 검사상 11예(50%, 소 및 중 파열 2예, 대 및 광범위 파열 9예)에서 회전근 개의 봉합 부위에서 수술 소견과 일치하는 틈새로 진단되는 저에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동적 신장 운동을 시행한 후 수술 6주의 추시 관찰 초음파 검사상 5예(23%, 소 및 중 파열 1예, 대 및 광범위 파열 4예)에서 재파열 소견을, 능동적 운동을 시행한 후 수술 3개월의 추시 관찰 초음파 검사상 7예(32%, 소 및 중파열 2예, 대 및 광범위 파열 5예)에서 재파열 소견을 보였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후 초음파 연속 검사는 술 후 틈새와 술 후 재파열을 구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으며, 수술 후 6주에 23%, 3개월에 32%의 재파열 소견을 보인 바 재활 치료시 추가 치료의 방침을 세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