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the Exhibits in Natural History Museums as Socioscientific Learning Materials in the Context of Proposing Science Inquiry Communities: Earthquake Topic

과학탐구공동체 제안을 위한 사회과학적 학습 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교육적 잠재성 탐색: 지진 주제를 중심으로

  • 이선경 (서울대학교 BK21 미래사회과학교육연구 사업단) ;
  • 신명경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 김찬종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8.10.30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potential learning materials and methods of science practice from exhibits, and how those are presented in natural history museums as a feasible science inquiry community. The idea of science inquiry community was offered as a form of science practice that ended with science learning. A grasp of 'scientific practice to learning' is understood as a way to conceive scientific methods as well as facts and understanding knowledge. To get educational implications on the scientific practice of 'earthquake' as a socioscientific topic in the communities, we analyzed 1) the relationship between earth science curriculum and exhibits related to 'earthquake', 2) the educational goals and intentions of educators, and 3)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s in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in the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ose museums presented the exhibits consisting of various and practical cases and events of 'earthquakes' as a socioscientific topic related to their curriculum. At the target museum, it was clearly stated that the pursuing educational goals focused on relations with local interests and socioscientific issues. For making earthquakes relevant to visitors, delivering lived experiences with raw data and interactive media was emphasized in exhibit characteristics.

이 연구에서는 과학탐구공동체 구성을 위한 잠재적인 학습 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물의 교육적 잠재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과학 탐구공동체는 과학적 지식의 습득과 과학 방법의 학습으로 연결되는 과학실습의 한 형태로 제안하였다. 공동체 학습은 주변에서 접하게 되는 과학-기술-사회적인 이슈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자연사 박물관 전시가 이러한 사회과학적인 이슈들을 포함하고 있다면 이는 자연사박물관의 과학탐구공동체로의 가능성에 대해 고려해 볼 수 있음을 전제로 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사회과학적 학습 자료 잠재성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과학적 소재로서 적용 가능한 지진' 학습의 과학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해, 첫째 미국 뉴욕시의 미국 자연사박물관과 워싱턴 D.C.의 스미소니언 미국국립자연사박물관의 지진 관련 전시물과 지구과학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두 박물관의 관계자와 인터뷰하여 이와 관련한 박물관의 교육적 의도와 노력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과학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한 주제와 관련된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특징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한 박물관의 전시는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사회과학적 소재인 '지진'의 다양하고 실제적인 사례와 사건에 관한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대상 박물관은 지역적 흥미와 사회과학적 이슈와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박물관의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음을 알았다. 지진이란 주제를 관람객에게 적절하도록 하기 위해 전시특성에 있어 원자료나 상호작용적 매체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경험의 전달을 강조되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정, 2003, '지역적 맥락'의 개념 명료화를 통한 STS 교육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p
  2. 김진숙, 2002, 도덕과 교육의 사회구성주의적 접근으로서 윤리적 탐구공동체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9 p
  3. 김회용, 2005, 탐구공동체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경험하는 어려움 및 변화.발전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사상연구, 17, 37-57
  4. 송정남, 2006, 한국과 미국 자연사박물관 전시물의 특징 및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p
  5. 최경희, 장현숙, 2005, 과학관 전시물의 분석을 통한 국내외 주요 과학관의 STS 교육 실시 현황 파악.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336-345
  6. 최지은, 이선경, 신명경, 임진영, 변호승, 이선경, 이창진, 김찬종, 2004, 자연사 박물관의 예비관람객의 요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 91-106
  7. Bobbitt, J.F., 1926, Curriculum investigations.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USA
  8. Brown, B., Reveles, J.M., and Kelly, G.J., 2005, Scientific literacy and discoursive identity: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cience learning. Science Education, 89, 779-802 https://doi.org/10.1002/sce.20069
  9. Bruner, J.S., 1992, Science education and teachers: A Karplus lectur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 5-12 https://doi.org/10.1007/BF00700239
  10. Crawford, B.A., Krajcik, J.S., and Marx, R.W., 1999, Elements of a community of learners in a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3, 701-723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11)83:6<701::AID-SCE4>3.0.CO;2-2
  11. Elbers, E., 2003, Classroom interaction as reflection: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in a community of inquir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4, 77-99 https://doi.org/10.1023/B:EDUC.0000005211.95182.90
  12. Ford, M., 2008, Disciplinary authority and accountability in scientific practice and learning. Science Education, 92, 404-423 https://doi.org/10.1002/sce.20263
  13. Moje, E.B., Collazo, T., Carrillo, R., and Marx, R.W., 2001, "Maestro, What is 'Quality'?": Language, Literacy, and Discourse in Project-Based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 469-498 https://doi.org/10.1002/tea.1014
  14. Schwab, J., 1962, The teaching of science as enquiry. Oxford University Press, Longdon, UK, 103 p
  15. Trowbridge, L. and Bybee, R., 1990, Teaching science by inquiry in the secondary school. Merrill Publishing Company, OH, USA, 357 p
  16. Wallace, C., 2004, Framing new research in science literacy and language use: Authenticity, multiple discourses, and the "Third Space". Science Education, 88, 901-914 https://doi.org/10.1002/sce.20024
  17. Woolnough, B.E., 1998, Authentic science in schools, to develop personal knowledge. In Wellington, J.J.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Routledge, NY, USA, 109-125
  18. Yackel, E. and Cobb, P., 1996, Sociomathematical norms, argumentation, and autonomy in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matics Education, 27, 458-477 https://doi.org/10.2307/749877
  19. Yager, 1996, Meaning of STS for science teachers. In Yager, R.E. (ed.),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in science educ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N.Y., USA, 16-24

Cited by

  1.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Implications of 'Community of Inquiry' for Science Education: Toward 'Community of Inquiry in Science Classroom' vol.34, pp.3,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