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fter-school Program for an Astronomy Observation Club in a Highschool: Standardized Coefficient Decisio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Observation Site's Environment

고등학교 천체 관측 동아리를 위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관측지 주변 환경을 고려한 표준화 계수 결정 프로그램

  • Kim, Seung-Hwa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yo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Hyo-Nyong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yo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Hyun-Dong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yo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eong, Jae-Hwa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yo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승환 (경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이효녕 (경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이현동 (경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정재화 (경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8.10.30

Abstract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1) to develop astronomy observation program based on a standardized coefficient decision program; and (2) to apply the developed program to after-school or club activities. As a first step, we analyzed activities related to astronomy in the authorized textbooks that are currently adopted in high schools. based on the analysis, we developed an astronomy observ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decision program,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students' astronomical observations as part of the club activities. Specifically, this program used a 102 mm refracting telescope and digital camera. we took into account the observation site's environment of the urban areas in which many school were located and then developed a the computer program for observation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astronomical education in schools was based off of the textbooks. Specifically, it was mostly about analyzing the materials and making simulated experiments. Second, most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located in urban areas where students had more difficulty in observation than in rural areas. Third, an exemplary method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make an astronomical observation efficiently in urban areas with the existing devices. In addition,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decision program was developed to standardize the magnitude of stars according to the observed value. Finally, based on the students' observations, we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magnitude of a star in urban sites and in rural sites. The current astronomical education in schools lacks an activity of practical experiments, and many schools have not good observational sites because they are located in urban areas. However, use of this program makes it possible to collect significant data after a series of standardized corrections. In conclusion, this program not only helps schools to create an active astronomy observation activity in fields, but also promotes students to be more interested in astronomical observation through a series of field-based activ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방과 후 학교 활동으로 직접 활용될 수 있는 고등학교 천체관측반을 대상으로 한 천체 관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다. 연구방법은 먼저 현행 지구과학교과서의 천문관련 탐구활동을 분석한 다음, 가장 기본적인 관측 장비의 표준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교 인근 여러 관측지에서 학생들이 직접 탐구활동을 수행하였다. 특히 관측 장비의 경우 일선학교에서도 쉽게 구비할 수 있는 102mm급 굴절망원경과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였으며, 대부분 도심지에 위치한 학교의 관측지 환경을 고려한 탐구활동 및 그 수행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육과정상의 천문관련 탐구활동은 대부분 제시된 자료를 분석하는 자료 해석이나 가상실험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대부분의 학교가 위치한 도심지의 경우 도시 외곽보다 관측 환경이 열악하다. 셋째, 학교 인근 도심지에서 보편화된 관측 장비를 이용한 효율적인 관측 기법과 도심지에서의 관측 기기의 표준화 계수를 결정하였다. 넷째,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프로그램화하여 측정한 결과, 도시와 도시외곽에서 실제 별의 등급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천체 관측에 관한 다양한 탐구 활동을 제공할 수 있었다 현재 천체 관련 교육은 실제 탐구 활동 영역이 결여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학교가 도심지에 위치하고 있어서 관측환경 또한 좋지 못하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실질적인 천체관측 활동과 관측 결과에 대해 정형화된 보정활동을 거쳐 유의미한 관측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해 재해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장 체험 중심의 천체 탐구 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과학적 흥미를 높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용희, 이명균, 이시우 역, 1998, 관측 천문학. 미리내, 서울, 383 p
  2. 강용희, 천종복, 2004, 소형망원경에 부착한 디지털카메라 를 이용한 밝은 비교성과 변광성의 측광관측. 한국과학재단, 2004년도 R&E 결과보고서, 29 p
  3. 곽영순, 이양락, 김동영, 2006, 고교 선택과목 지구과학 I, II 교육과정 개정 방향. 제50차 한국과학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및 전국과학교사 현장연구 워크숍, 97-112
  4. 교육인적자원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별책 9). 대한교과서, 서울, 89 p
  5. 김경임, 임영범, 1985, 지구과학교육에서 소형천체망원경을 이용하는 방법. 한국천문학회, 2, 47-60
  6. 김승환, 오문섭, 2004, 소형 디지털 카메라의 표준화를 통한 항성의 물리량 측정. 제50회 과학전람회 작품설명서, 56 p
  7. 민영기, 윤홍식, 홍승수 역, 1991, 기본 천문학. 형설 출판사, 서울, 519 p
  8. 오필석, 김찬종, 2005, 지구과학의 한 탐구 방법으로서 귀추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610-623
  9. 전경노 역, 2002,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서론. 대한교과서, 서울, 523 p
  10. 천종복, 2005, 밝은 표준성 및 변광성 측광관측을 통한 관측 자료의 표준화 지도(천체관측 방법의 개선에 관한 탐구지도). 제 51회 과학전람회 작품설명서, 35 p
  11. 한국지구과학회, 1994, 지구환경과학 II. 대한교과서, 서울, 216 p
  12. 한국지구과학회, 1998, 지구과학실험서. 교학연구사, 서울, 415 p
  13. 한국천문연구원, 2006, 역서 2006. 남산당, 서울, 180 p
  14. 한주용, 최승언, 2005, CCD를 이용한 천체관측 프로그램의 개발-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및 정기총회, 188-195
  15. 현정준 역, 1974, 천문학 강요. 일신사, 서울, 542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