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Future Strategy and Mission for the Stakeholders in Industry, Academy, and Government for the Revitalization of CM

CM 활성화를 위한 산학관 분야의 향후 발전방향 및 미래과제

  • 박형근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신규철 (계명대학교 건축학부) ;
  • 박환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관리연구실) ;
  • 정영수 (명지대학교 건축학부)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Construction Management contracting method and administration system had introduced to Korea 10 years ago. The actual CM consulting contract has adapted just for 5 years only. The CM administration system proves lots of innovative construction practices, upgrading construction industry from corporations to site operations. However, there are more tasks to the CM professionals to revitalize CM contracting methods and administration system. This research investigated what CM has achieved for the past 10 years and what CM should accomplish for the coming 10 years as future strategy and missions. Overseas CM practices are reviewed and domestic market, regulations, requirements are investigated through structured interviewed and in-depth survey to CM professionals. Many interesting issues were found through research process and those topics were categorized by industry, academy and government for defining current problems and future tasks. These issues for future strategy and mission needs to be utilized to develop future CM contracting methods and administration system. The system to follow up these meaningful results of CM is important for the future progress.

국내에 CM 제도가 도입된 지 10년이 지났지만 실질적으로 시장이 형성된 것은 지난 5년 정도의 기간이다. 그동안 새로이 도입된 제도로서 괄목한 만한 성장과 실적을 이루어낸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다양한 아쉬움과 미래 발전방향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산학관계에 있는 다양한 전문가의 입장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현시점에서 지난 10년을 되돌아보고 향후 10년간 나가야 할 방향과 목표, 전략과 과제를 도출하고자 기획되었다. 해외 사례조사를 통하여 경쟁국들의 동향을 파악하였고 국내 각 분야별 전문가들의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통하여 현재의 각 분야별 문제점과 미래 과제들에 대한 공감대를 수렴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산학관의 발전방향과 미래과제는 향후 10년의 CM를 전망하고 한 단계 높은 수준의 발전을 추진할 기본적인 동력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복남 외. (2007). 한국건설산업의 성공키워드 CM/PM,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지음, 보성각, 서울
  2. 한국CM협회, (2007)" CM 10년사 - 건설사업관리가 걸어온 10년"
  3. 한국CM협회, (2007.7.) 건설사업관리의 CM 장단기 발전방안
  4. 대한건설협회. (2007). 민간건설백서-2006년, 서울
  5. 해외건설협회. (2007). 해외건설종합정보서비스, 해외건설협회 웹사이트 (http://www.icak.or.kr/)
  6. 이복남, 최석인, 장현승, (2005.8.)" 국내 용역형 CM/PM 시장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7. CMAA, 2007 Comparis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and Program Management C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