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tention of Having a Second Child by the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 정혜은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Published : 2008.04.25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intention of having a second child. In particular,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whether the factors related to the intention of having a child differed by the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the National Survey on the Trend of Marriage and Birth. This survey was conducted in 2005 by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sample consisted of 690 married women who had one child(282 employed and 408 unemployed). The data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with SAS 9.1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mployed women's intention of having a second child was affected by the husband's hours of housework, having a own mother(child's grandmother) and the perception of value of child. The employed women's intention of having a second child was affected by the perception of emotional value of child, and the sex of the first child. In sum,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employed women and the unemployed women i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 of having a second child. Perception of value of child was found important for both the employed and the unemployed women. Besides husband's hours of housework, having a mother and the needs for public support about child birth and rearing were found significant for the employed women. For the unemployed women, the costs of child care/education and the sex of the first child were found signific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different policy interventions be developed to satisfy the needs of the employed women and the unemployed women.

이 연구의 목적은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경제학적 관점과 문화가치관 접근을 중심으로 가구소득, 교육수준, 자녀양육비, 가사노동조력, 정책 인지 및 욕구, 정서적 도구적 자녀가치관과 첫 자녀 성별 변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자료에서 한 자녀만 있는 기혼여성 690명을 추출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여성의 경우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 증가할수록, 친정어머니가 생존할 경우, 사회적 지원 욕구도가 높을수록, 정서적 자녀가치관이 높을수록 출산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취업여성의 경우 자녀 양육비가 낮을수록, 정서적 자녀가치관이 높을수록, 첫 자녀가 딸인 경우 출산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취업여성과 비취업여성의 출산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이 같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출산율 제고를 위해서는 취업여성과 비취업여성의 욕구와 현실에 맞는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이주.김영신.허경옥 (2006) (알기쉬운)가계경제학 신정
  2. 공선영 (2006) "경제위기 이후 인구학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기혼여성 의 출산에 미친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19: 119-149
  3. 권용은.김의철 (2004) "자녀가치와 출산율" 아동교육 13(1): 211-226
  4. 권태환.김두섭 (1990) 인구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5. 권태환.김태헌.김두섭.전광희.은기수 (1997) 한국 출산력 변천의 이해 일신사
  6. 김승권 (2004) "최근 한국사회의 출산율 변화원인과 향수 전망" 한국인구학 27(2): 1-34
  7. 김승권.조애저.김유경.박세경.이건우 (2004) 2003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김선미 (2004) "전업주부의 '자식 키우기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537-553
  9. 김용익 (2005) "저출산의 현황과 정책방향" 서울시민의 저출산의식 실태와 출산인식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법률상담소
  10. 김정석 (2007)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한국인구학 30(3): 97-116
  11. 김태헌.이삼식.김동희 (2005) 출산력 저하의 원인-출산행태 및 출산력 차이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12. 김한곤 (1993) 한국출산력 변화의 원인과 전망 대구: 영남대학교 출판부
  13. 김혜원 (1997)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심리적 안녕감: 사회구조적 변인, 성역 할태도, 역할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2): 111-127
  14. 류연규 (2005) 복지국가의 탈가족화와 출산율의 관계에 대한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문숙재.윤소영.김은희 (2002) "무보수 가사노동의 국민경제에 대한 기여도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40(10): 161-176
  16. 박정희.장영애 (2003)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서에 대한 관련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3): 31-44
  17. 배지희.황인애.탁옥경 (2007) "영유아기 자녀양육 및 교육 지원에 대한 전업주부의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225-254
  18. 서소정 (2005) "저출산 가정의 자녀 양육실태 및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집 단내 비교 분석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27-136
  19. 신연희.조은경.정자영 (2005) 서울시민의 저출산의식 실태와 출산인식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법률상담소
  20. 여정성 (1994) "기혼여성의 취업과 출산에 대한 경제학적 접근" 대한가정학회지 32(3): 71-83
  21. 원숙연 (2005) "일-가정 양립지원정책을 둘러싼 수사와 현실-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사례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4(2): 157-188
  22. 이문정 (2003)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영아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0(3): 173-195
  23. 이삼식.정윤선.김희경.최은영.박세경.조남훈.신인철.도세록.조숙경.강주희 (2005)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4. 이성용 (2003) "남아 선호와 출산력간의 관계" 한국인구학 26(1): 31-57
  25. 이영미 (2005) "취업모의 자녀양육지원제도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6): 95-104
  26. 이희연 (2003) 인구학: 인구의 지리학적 이해 법문사
  27. 정경희 (1997) "기혼여성의 취업이 가족구조 및 세대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도시지역을 중심으로" 1997년 전기사회학회 발표문: 213-216
  28. 정현숙.유계숙 (2003) 가족관계 신정
  29. 차경욱 (2005) "저출산 가계와 출산계획이 있는 가계의 경제구조 비교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37-148
  30. 천혜정 (2005) "둘째 자녀 출산 희망에 대한 배우자간 차이와 이에 따른 집단간 특성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37-148
  31. 통계청 (2006) 사회통계
  32. Altschuld. J. W. (1994) Resource Materials for Needs Assessment The Ohio University
  33. Becker, G. (1960) A Treatise on Famil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4. Becker, G. (1981) "An Economic Analysis of Fertility" Economic Analysis of Fertility 3: 210-240
  35. Bernardi, F. (2005) "Public Polices and Low Fertility: Rationales for Public Intervention and Diagnosis for the Spanish Case"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15(2): 123-138 https://doi.org/10.1177/0958928705049160
  36. Brewster, K. L. & R. R. Rindfuss (2000) "Fertility and Women's Employment in Industrialized Nations" Annual Review of Sociology 26: 271-296 https://doi.org/10.1146/annurev.soc.26.1.271
  37. Esterlin, R. (1975) "A Framework for Fertility Analysis" Studies in Family Planning 6: 54-63 https://doi.org/10.2307/1964934
  38. Leibenstein, H. (1975) "The Economic Theory of Fertility Decline"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 1-31
  39. Livi Bacci Massimo (2001) "Comment: Desired Family Size and the Future Course of Fertilit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7(suppl): 282-289
  40. Okun, A. M. (1975) Equality and Efficacy: The Big Tradeoff Brookings Institution Press
  41. Pollak, R. A., & S. C. Watkins (1993) "Cultural and Economic Approaches to Fertility: Proper Marriage or Mésalliance?"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9(3): 467-496 https://doi.org/10.2307/2938463
  42. Sleebos, J. E. (2003) "Low Fertility Rates in OECD Countries: Facts and Policy Responses" OECD Social Employment and Migration Working 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