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ovel Disposal Methods for Unsanitary-Landfilled Wastes at Residential Development Sites

택지개발사업현장의 비위생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매립쓰레기의 합리적인 처리

  • 손영규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 이소영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김이형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김지형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Recently, detections of huge amount of wastes in the unsanitary landfills at a residential development sites were reported. Because the sites were the residential development sites, all landfilled wastes should be removed for the constructions. Therefore the way that the unsanitary landfills were excavated and then the wastes were sort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soils, noncombustibles, and combustibles was selected as the best method. Soils and noncombustibles could be recycled in the sites and combustibles could be compacted and be relandfilled in a smaller area.

택지개발사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매립쓰레기의 합리적인 처리를 위하여 매립쓰레기를 굴착하여 토사류, 불연물류, 가연물류 등으로 선별하고, 토사류, 불연물류는 현장 재활용하고, 가연물류는 별도 처리하는 방안이 최적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가연물류는 소각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높은 소각비용으로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현장압축매립공정이 새로운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장압축매립공정은 일반매립공정보다 좁은 면적에 매립이 가능하며, 소각공정에 비해 경제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5) 순환골재 품질기준
  2. 건설교통부 (2006)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3. 심문보, 윤영채 (2000) 지방자치단체의 비위생 매립지의 정비방향과 추진전략. 환경정책, 한국환경정책학회, 제8권, 제2호, pp. 55-78
  4. 연익준, 주소영, 김광렬 (2005) 소규모 비위생매립지의 환경안정성 평가. 한국폐기물학회지, 한국폐기물학회, 제19권, 제2호, pp. 234-243
  5. 정준교, 장정희, 오승훈 (2006) 비위생 매립지 규모에 따른 정비방안.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54권, 제4호, pp. 54-60
  6. 한국토지공사 (2006) 매립쓰레기 처리에 관한 연구
  7. 환경부 (2001) 사용종료 매립지 정비지침
  8. 환경부 (2006a) 폐기물관리법
  9. 환경부 (2006b) 토양환경보전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