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ral Earth Pressure with The Shape of Narrow Space with Backfill

좁은 공간의 형상에 따른 되메움 토압에 관한 연구

  • 허경한 (초당대학교건설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The study, with regard to unsymmetrically inclined backfilled wall, was intended to estimate the lateral earth pressure, develop the equation for lateral earth pressure and eventually identify the mutual behavior, based on the modified Kellogg theory, while changing the width between the walls, wall angle, relative density and wall friction angle. To verify the geostatic pressure obtained from the study, the results in the wake of 62 kinds of model tests performed were compared and evaluated with the behaviors based on theoretical equations. As a result, the wall inclination angle was found to be the factors affecting the earth pressure the most, when both walls were inclined unsymmetrically. And the narrower the backfill space and the larger the wall inclination angle to the horizontal level, the greater the effect of the wall friction. The equation considering the wall friction reaction indicated the value, which was closer to the actually-measured earth pressure, and when the width between the warts was narrow, the arching effect appeared to be great, thereby indic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earth pressure, theoretically calculated earth pressure and the geostatic pressure proved to be insignificant.

본 연구는 되 메움 된 굴착 양측 벽이 비대칭으로 경사진 경우에 대하여 벽체간의 폭, 벽면경사각, 상대밀도, 벽면마찰각의 크기를 변화시켜 Kellogg의 이론과 이를 보완한 수정식으로 토압을 산정하고 또한, 벽면마찰반력을 고려한 토압 식을 제안하여 상호간 거동을 구명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구한 지중 토압을 검증하기 위하여 총 62종류의 모형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이론식에 의한 거동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 양측 벽이 비대칭으로 경사진 경우, 되 메움 토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벽체경사각의 크기였으며, 또한 되 메움 공간이 협소할수록 그리고 수평면과 이루는 벽체의 경사각이 클수록 벽 마찰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한편, 실측토압과 가장 근소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벽면마찰반력을 고려한 제안 식으로 구한 경우였으며 또한, 벽면사이의 폭이 좁은 경우 아칭효과가 크게 나타나 실측토압 및 제안된 이론토압모두 지중 토압과 가장 근소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종규, 문창렬 (1997) 좁은 공간 되 메움 지반에서의 상재하중 영향에 의한 토압.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13권, 제6호, pp. 165-177
  2. 이종규, 허경한 (2001) 대칭경사진 벽체의 되 메움 수평토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17권, 제5호, pp. 147-155
  3. 정성교, 김문규, 정진교, 이만렬, 남선우 (1999) 뒤채움 과정이 고려된 모형벽체에 작용하는 수평토압: I.고정벽체.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9권, pp. 795-806
  4. Bowels, J.E. (1996) Foundation Analysis and Design, 5th Edition. McGraw Hill Book co, pp. 1175
  5. Braja M. Das (1998) Principle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4th Edition. 구미서관, pp. 308-346
  6. Finn, W. D. Liam (1963) Boundary Value Problems of Soil Mechanics. JSM, ASCE, Vol. 89, pp. 39-72
  7. Handy, R. L. (1973) The Igloo and the Natural Bridge as Ultimate Structures. Arctic. ASCE, No. 4, pp. 276-281
  8. Handy, R. L. (1985) The Arch in Soil Arching. JGE, ASCE, No. 3, pp. 302-318
  9. Kellogg, C. G. (1987) Discussion of 'The arch in Soil arching.' by R. L. Handy. JGE., ASCE, Vol. 113, No. 3, pp. 269-271
  10. Kellogg, C. G. (1993) Vertical Earth Loads on Buried Engineered Works. JGE, ASCE, Vol. 115, No. 3, pp. 487-506
  11. Krynine, D. P. (1945) discussion of 'stability and Stiffness of Cellular Cofferdams,' by Karl Terzaghi. Transactions, ASCE, Vol. 110, pp. 1175-1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