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도나무 유경접목 후 처리가 활착율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ments of Post-Epicotyl grafting on the Survival Percentage and Growth in Walnut Trees(Juglans sinensis Dode)

  • 이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이문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정명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변광옥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현정오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 권용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Lee, Uk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Moon-Ho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Jung, Myung-Suk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Byun, Kwang-Ok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Hyun, Jung-Oh (Dep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won, Yong-Hee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발행 : 2008.02.27

초록

본 연구는 호도나무 유경접목 활착율 개선을 통한 효율적인 접목묘 생산 및 원활한 보급체계 구축을 위하여 접목 후 이식유형 및 처리에 따른 활착율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호도나무 유경접목 후 이식유형에 따른 처리별 평균 접목활착율을 조사한 결과, 접목상 이식 후 비닐덮개 처리구(TPGB1)가 89.02%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처리간 온도와 습도유지 정도에 따라 활착율의 차이가 있었다. 품종별 평균 접목활착율은 KWN-3 개체가 81.59%로 가장 높았으며 모든 처리에서도 높은 활착율을 보였다. 동일처리 내에서도 품종별 활착율의 차이가 심한 것은 접수의 영양상태와 채취부위 등이 접목활착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접목 후 이식유형에 따른 활착묘의 생장량을 조사한 결과, 접목묘의 묘고생장 및 직경생장, 접수의 직경생장 등 조사항목 모두 처리별 활착율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 묘고생장은 TPGB1이 평균 15.97cm($2.0{\sim}59.0cm$)로 가장 높은 생장량을 나타냈으며 신초지 및 접수의 직경생장에서도 모두 TPGB1 처리구가 평균 7.55mm($1.65{\sim}14.71mm$)과 8.12mm($1.82{\sim}13.58mm$)로 가장 높은 생장량을 보였다. 접목묘 신초지의 발생위치에 따른 처리별 생장량의 비교분석에서 묘고생장에서만 측아가 12.05cm로 정아의 9.57cm 보다 매우 우수하였으며 동일 처리내 접수채취 부위 및 신초지 발생위치 따른 활착율은 품종간 차이가 없었다.

To product grafts and construct its spread-system effective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to effects on the survival percentage and growth in walnut trees(Juglans sinensis Dode) according to transplanting type and post-epicotyl grafting treatment. In the average survival percentage of the grafting according to post-epicotyl grafting transplanting type, TPGB1(transplanting in grafting bed) showing 89.02% was highest. Also, the survival percentage was different from appropriate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in treatment. As a result of the average survival percentage of the grafting by species, KWN-3 having 81.59% was highest with high survival percentage of total treatment in general. In addi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nutrition condition of scions and collecting parts are strongly related to survival percentage on having significantly difference of its survival percentage by species. The growth rate of the survival grafts by transplanting type after grafting revealed that all of the investigation items(height and diameter growth of grafts, diameter growth of scions and etc.) resulted in same trend. TPGB1 having the highest tree height growth, 15.97cm($2.0{\sim}59.0cm$), showed the highest growth on diameter growth of shoots, 7.55mm($1.65{\sim}14.71mm$), and scions, 8.12mm($1.82{\sim}13.58mm$), as well. In the growth of each treatment according to different developing parts of shoots in grafts, the lateral bud, 12.05cm, was much superior to the terminal bud,9.57cm, on only graft height growth. However, the survival rate according to collecting parts of scions and developing parts of shoots with same treatment was not different with among-spec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인. 1982. 호도나무 유태접목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55: 68-75
  2. 박교수. 1967. 특용수종의 유대접목의 새로운 방법 (1) - 유실수종의 유대접목에 관한 연구. 국립산림과학원 임연연보 5: 75-84
  3. 박교수. 1971. 유실수종의 유근위접목과 기타접목법의 실용화에관한연구. 한국원예학회지 9: 55-66
  4. 박교수. 1973a. 조기 다수확을 위한 호도나무 재배법. 한국원예 기술협회 월간원예사 pp. 71-86
  5. 박교수. 1973b. 유실수종의 새로운 유대접목법. 한국원예기술협회 월간원예사 pp. 125-217
  6. 황석인, 이문호, 이병실, 이재선, 송정호, 이 욱. 2002a. 호도나무의 대목이 유경접목 활착률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1(4): 517-522
  7. 황석인, 이문호, 이병실, 이재선. 2002b. 호도나무 접수의 채취시기 및 처리가 유경 활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종학회지 55: 68-75
  8. 윤기식 , 구관효 , 조정석. 1989. 호도나무 대목촉성재 Plastic 원통을 이용한 유경녹기 접목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8(2): 189-197
  9. 이정식, 정순진, 김유선, 노승무, 이성춘, 송성자, 조창휘. 2003. 접목 후 생장조절제 종류와 농도가 접목 선인장의 접목 활착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2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