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층파쇄대를 포함한 화강암지역의 여수로 터널 안정성 분석

Stability Analysis of the Spillway Tunnel Located on the Granite Region Including Fault Fractured Zone

  • 발행 : 2008.02.29

초록

임하댐 비상여수로 터널 공사가 단층파쇄대가 포함된 화강암지역에 굴착되고 있는데 본 터널이 3련 터널임을 감안하여 터널이격거리, 터널막장간 이격거리를 검토하였으며 단층파쇄대가 여수로 터널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지구물리학적 조사와 암반공학적 현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터널 막장간 이격거리는 최소 25 m 이상을 유지하면서 2터널의 선행 굴착이 적합하리라 판단되며 단층대의 영향을 받는 터널 만곡부의 3차원 수치해석결과 2터널의 천단변위 및 내공변위는 미미하며 숏크리트 최대 휨압 축응력, 숏크리트 최대전단응력, 록볼트 최대축력 등을 살펴보면 만곡부 굴착에 따른 응력집중은 미미하여 여수로 터널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construction of an emergency spillway of Imha Dam is being in progress on the granite region including fault fractured zone. Considering that this tunnel is being excavated in three paralled rows, the pillar width between each tunnel and the face distance between each tunnel face were evaluated. The Influence of the fault fractured zone for the tunnel stability was investigated by numerical modelling in 3D. Various geophysical investigations and rock engineering field tests were carried out for these purposes. It was suitable that the second tunnel would be excavated in advance, maintaining the face distance between each tunnel face of minimum 25 m. The results of numerical modelling showed that the roof displacement and the convergence of the second tunnel were insignificant, and the maximum bending compressive stress, the maximum shear stress of shotcrete and the maximum axial force of rockbolt were also insignificant. Therefore, it was estimated that the stability of the spillway tunnel was ensur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학문, 정재우, 이봉열, 1996, 쌍굴 터널 굴진에 따른 주변지반거동과 간섭효과, 96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173-182, 한국지반공학회
  2. 백영식, 임홍택, 임수빈, 1993, 산악지 쌍굴수로 터널해석에 대한 고찰, 9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21-26, 한국지반공학회
  3. 유충식, 이호, 윤호석, 1997, 쌍굴 터널의 거동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 해석, 97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51-160, 한국지반공학회
  4. 임수빈, 이성민, 이제우, 백영식, 1994,터널 굴착시 고려해야 할 주변암반의 매개변수와 진행성 파괴, 94 가을학술발표회 논문집, pp.231-234, 한국지반공학회
  5. 철도설계편람(토목편) 터널, 2004, 대한토목학회
  6. 터널설계 기준, 1999, 건설교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