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침하 거동특성 분석을 위한 암반의 부피팽창률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ulking Factor of Rock Mass for Subsidence Behavior Analysis

  • 이희중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지구시스템공학과) ;
  • 정용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최성웅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지구시스템공학과)
  • 발행 : 2008.02.29

초록

지반침하 대상지역 암반의 부피팽창률에 대한 측정방법은 국 내외적으로 아직까지 규정된 바는 없으며, 그동안 현장에서 화약발파에 의한 암반의 부피증가율로써 부피팽창률을 적용하여 시용하여 왔다. 하지만 이렇게 제시된 부피팽창률은 일정한 기준으로 분류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각각에서 제시된 값들은 암종에 따라 부피팽창률 범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반침하 대상지역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편마암, 석회암 및 셰일을 대상으로 붕락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파쇄암의 적재 형태에 따른 부피팽창률과 응력에 따른 부피팽창률을 산정하기 위해 파쇄암이 적재된 상태에서 일정한 하중을 가하여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다.

The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bulking factor of rock mass in subsidence area have never been well known all over the world. The volumetric expansion ratios obtained from blasting operation were the only way of acquiring the bulking factor of rock mass. The bulking factor of rock mass obtained from blasting operation, however, has been seldom classified in a certain criterion. Also the bulking factor of rock mass can be very dependent upon rock types.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obtained from these reasons, the authors studied the experimental bulking factor of rock mass according to the stacking shapes as well as the overburden stresses. Gneiss, limestone and shale were chosen for testing specimens, and each bulking factor has been measured with laboratory test of applying a constant load on the fragmented rock specimens.

키워드

참고문헌

  1. 최성웅, 전양수, 박의섭, 정용복, 천대성, 2005, 지반침하 메커니즘 분석 및 평가 프로그램 개발,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제15권 제3호, pp. 195-212
  2. Piggot, R. T. & Eynon, P., 1997, Ground Movement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Shallow Abandoned Mine Workings, Large Ground Movements & Structures, Pentech., pp. 749-780
  3. Brady, B.H.G and Brown, E.T., 1985, Rock Mechanics for Underground Mining, George Allen & Unwin., 527p
  4. Karfkis, M. G., 1993, Comprehensive Rock Engineering, Vol, 5-I, Pergamon, pp. 451-476
  5.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1995, Strata Controls for Coal Mine Design, No. 7, 5p
  6.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1997, 폐광지역 지반침하 메카니즘 및 침하방지공법에 관한 연구, 기술총서, No.6, 292p
  7. 건설표준품셈, 1996, pp. 98-99
  8. Church, 1981, Excavation Handbook, McGraw Hill Book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