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rbitration of Step research to decrease performer's stage fright

배우의 무대불안 감소를 위한 중재 전 단계 연구

  • 오진호 (상명대학교 예술대학 영화학과 영화연기)
  • Published : 2008.02.28

Abstract

This research requires personal, psychological analysis which reflect korean culture's characteristics and emotions for stage-fright and factors of fear-causing, solution-centered, humanism, recognition-acting by approaching through psychology counsel. It studies former stage, and base on this psychological therapy. It can be suggested that applying various psychological arbitration training program. Also stage fear and fright which factors are not overcome and explained, with them It is necessary to show alternative plan with put physiological analysis together, with this procedure, The goal is to develop systematical and synthetic training course.

본 연구에서는 무대불안 및 공포 유발 요인에 대해 한국 문화적 특성과 정서를 직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개인적 심리적 분석을 해결중심적, 인간주의적, 인지-행동적 심리상담을 통해 접근하는 전 단계를 연구하는 것이며, 이러한 심리치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심리 중재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무대 불안 및 공포는 심리적 차원에서 설명 및 극복될 수 있는 요인이 아니기 때문에 이와 함께 생리학적 분석을 종합한 대안이 제시 돼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배우들의 무대불안 및 공포를 극복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훈련과정이 개발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승길, 현대연극의 이론, 서울: 대광문화사, (1975).
  2. 김석만, 스타니슬랍스키 연극론, 서울: 이론과 실천, (1993).
  3. 김재은. 무대위의 얼굴, 서울: 도서출판 시민, (1990).
  4. 나상만, 스타니슬랍스키 어떻게 볼 것인가?, 서울:예니, (1996).
  5. 박덕규, 불안, 공포증의 이해와 극복, 서울: 배영사, (1996).
  6. 스즈키다다시 저 김의경역, 스즈키 연극론, 서울:현대미학사, (1993).
  7. 이호영, 공황장애, 서울: 진수출판사, (1992).
  8. 이훈구, 현대심리학개론, 서울: 정민사, (1984).
  9. 짐 테일러, 쎄시 테일러, 무용 심리학, 서울: 도서출판 들불, (1995).
  10. Benedetti, Robert L. The Actor at Work. Englewood Cliffs, N. J. : Prentice Haall, (1981).
  11. Csikszenmihalyi, Mihaly.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 Jossey-Bass Publishers, (1975).
  12. Seymour Bemstein/ 백낙정역, '자기 발전을 향한 피아노 연습', (2001).
  13. Shapiro, Jr., Dean H. Meditation: Self-Regulation Strategy and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New York: Aldine Publishing Co, (1980).
  14. Stanislavski, Constantin. An Actor Prepares. trans. by Elizabeth Reynolds Hapgood. New York: Theater Arts Books, (1983).
  15. 권석만. 불안장애의 정신병리 평가, 정신 병리학, 제 6권, 제 1호, (1997).
  16. 권석만. 심리학 연구의 통합적 탐색, 한국심리학회동계 연구세미나 발표지, (1995).
  17. 권석만. 우울과 불안의 관계, 심리과학, 5(1), (1996).
  18. 김정택. 특성불안과 사회성의 관계-Spiel berger의 STAI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78).
  19. 김종구. 한국 연기자의 무대공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논문, (1998,12).
  20. 김종구. 수영 경기의 심리기술 프로그램 개발 및 효율성 검증, 한국체육학회, 제 41권 제5호, (2002).
  21. 김혜숙. 무용수의 극적 표현성 확대를 위한 연기훈련 방법론,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22. 나상만. Grotowski System과 연기자 신체훈련에 관한 연구, 한국연극, (1985, 10).
  23. 나상만. 연기교육학의 어제와 오늘, 한국연극, (1997. 06).
  24. 민경희. 무대 공포의 심리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논문집, 제 35권, (1998).
  25. 윤병주. 무용즉흥작업의 내적 표현력발달을 위한 연구-"스타니슬랍스키 이론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26. 정청희.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서울;도서출판 무지개사. (2003).
  27. 홍성은. 무대에서의 긴장감 나는 이렇게 푼다, '피아노 음악', (1991.07).
  28. 글렌 윌슨. 공연예술 심리학, 한국연극, pp. 216, 220, 222. (1994. 05, 09, 11).
  29. 브라이언 베이츠. 배우의 길, 한국연극, pp. 204, 213-214, (1993. 05. 1994. 02-03).
  30. Abel, J. L,.& Larkin, K, T. "Anticipation of performance among musicians; physiological arousal, confidence and state anxiety," Psychology of Music, 18, (1990).
  31. Appel, S, S. "Modifying solo performance anxiety in adult pianists," Journal of Music Therapy, 13, (1976).
  32. Clark DB. et al.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performance anxiety in musicians," Am J Psychiatry, 1; 77(2), (May, 1991).
  33. C. O. Brantigan, "Effect of Beta Blockade and Beta Stimulation on Stage Fright,"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Volume 72, (January, 1982).
  34. Dews, C. L. B., & Williams, M. S. "Student musicians' personality styles, stresses, and coping patterns," Psychology of Music, 17, (1989).
  35. Epstein, S. & Fenz. "Steepness of approach and avoidance gradients in humans as a function of experience," Journal of Ezperimental Psychology, 70, (1965).
  36. Ellies, A. The sport of avoiding sports and exercise: A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perspective. The sport psychologists, 8, pp.248-261, (1994).
  37. Glen O. Gabbard, "Stage Fright" Int. J. psycho-Anal. 60, 383. (1979).
  38. Greenhill, j. "A critical step toward a balletcareer." Dancd Teacher Now, 14, pp.53-58, (1992).
  39. Kaplan, D. "On stage fright," Drama Rev. 14, pp.60-83, (1969). https://doi.org/10.2307/1144506
  40. Nideffer, R. M. Athlete's guide to mental training.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ub. pp.109-118, (1985).
  41. Nideffer, R. M. Psyched to win. Leisure Press; Champaign, Illinois, (1992).
  42. Patton, M. Q.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90).
  43. Spielberger, C. D. Theory and research on anxiety. In C. C. Spielberger (Ed.), Anxiety and behavior . New York: Academic, pp. 3-22, (1966).
  44. Steptoe, A. "Stress, coping and stage fright in professional musicians," psychology of music, 17, (1989).
  45. Sobel D: For. "stage fright, a remedy proposed, "New York Times Now 20, (1979).
  46. Van Kemenade JF, et al. "Performance anxiety among professional musicians in symphonic orchestras: a self-report study," Psychol Rep, (May,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