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rand Preference and Performance of Domestic and Imported Fashion Accessary Brands

국내 및 해외 유명 잡화 브랜드의 선호도와 성과에 대한 연구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brand equity factors influencing brand preferenc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ference and other factors on brand performance of domestic and imported fashion accessary(handbag, shoes, purse, etc.) brands. A total of 300 women aged between 20 and 49 years were surveyed during the month of September, 2006, on 2 domestic brands and 2 imported brands that were well-known to consumer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actorial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OVA, Cronbach's ${\alpha}$, etc., using the SPSS 10.0. The result of research showed: 1) Four factors of brand equity were identified: quality, awareness, image, and trust. 2) Quality, awareness, price acceptability, distribution proximity, and brand performance of the domestic brand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imported brands. But brand preference of the imported brand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omestic brands. 3) Brand preference of the domestic brands was affected by quality, awareness, image, and trust. And brand performance of the domestic brands was affected by appropriateness, brand preference, and distribution proximity. 4) Brand preference of the imported brands was affected by image, quality, awareness, and trust. And brand performance of the imported brands was affected by price acceptability, appropriateness, and distribution proximity.

Keywords

References

  1. 고애란. (1994). 국내 및 외국 청바지의 구매의도에 따른 평가 기준에 대한 신념과 추구이미지 의복태도의 차이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2), 263−272
  2. 권기대, 정락채, 신정화. (2003). 공급체인상의 조직간 관계 적 특징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남성정장메이커와 대리 점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7(2), 229−238
  3. 김경원, 이은영. (1999). 소비자 평가에 기초한 의류 상표 자 산. 한국의류학회지, 23(8), 1075−1085
  4. 김봉관, 김태우. (2003). 브랜드 자산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스포츠화 구매자의 관여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과학연구, 11, 59−77
  5. 김용만, 강석정. (1999). 브랜드 자산 가치의 구성요소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과학회, 4, 53−85
  6. 김은아. (2004). 해외 명품 브랜드 자산 측정에 관한 실증 연구.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주호. (1999). 브랜드 자산 측정에 대한 실증연구 및 광고가 브랜드 자산 구축에 미치는 영향분석. 광고학연구, 10(1), 183−209
  8. 김혜정, 임숙자. (2002). 캐주얼 브랜드 자산의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1), 1660−1671
  9. 나영은. (1992). 의복스타일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문달주. (2002). 브랜드 자산 및 성과 진단 모델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마케팅과학연구, 9(0), 77−97
  11. 문미아, 박혜선. (2000). 남자 중.고등학생의 자기이미지와 의 복추구이미지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5), 748−759
  12. 민경진, 홍금희. (2005). 여성 캐주얼 상표 확장에 대한 상표 개성과 상표 자산의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9(6), 753−763
  13. 백수경, 황선진. (2002). 한국과 미국 패션 제품의 가격과 객 관적 품질에 관한 비교연구−199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3/4), 527−538
  14. 오정선. (1998). 상황적 자기이미지에 의한 의류시장 세분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이승희, 임숙자. (1998). 국내 및 해외 브랜드 여성 제품에 대 한 소비자 반응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4), 493−502
  16. 이은경. (2006). 해외 유명 브랜드의 선호도와 충성도의 영 향요인에 관한 연구-개인적 특성과 제품의 특성을 중심 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이은아, 김미숙. (2000). 주관적 연령에 따른 의복구매행동 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제24회 정기총회 및 춘계 학술발표회, 41
  18. 이재우. (2002). 감정평가사의 업무역할확대: 브랜드자산 평 가를 중심으로. 월간 감정평가사, 6월호, 24−38
  19. 이정욱. (2000). 원산지와 의류상표 자산 가치가 소비자의 의류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한국과 미국의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4(5), 663−674
  20.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2005). 소비자행동−마케팅 전략적 접근− (제3판). 서울: 법문사
  21. 이호정. (2003). 의류상품학개론 (개정판). 서울: 교학연구사
  22. 임정아. (2002). 캐주얼 의류 브랜드 자산 형성에 관한 연구- 광고, 판촉, 유통 집약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장은영, 이선재. (1994). 의류상품이미지에 의한 의복구매과 정모형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 471−484
  24. 장은영. (1997). 국내 및 수입 유명 의류에 대한 소비자 선호 요인 비교연구−여성복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1(1), 182−193
  25. 최윤정, 이은영. (2004). 패션명품의 상표 자산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7), 1007−1018
  26. 최정, 이은영. (2001). 가격 할인 빈도가 소비자의 의류상표 자산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6), 1025−1036
  27. Aaker, D. A. (1991). Managing brand equity. New York: The Free Press
  28. Aaker, D. A. (1996). Measuring brand equity across products and market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38(3),102−120 https://doi.org/10.2307/41165845
  29. Aaker, D. A. & Biel, A. L. (1993). Brand equity and advertising: An overview. In D. A. Aaker & A. L. Biel (Eds.), Brand equity & advertising: Advertising's role in building strong brands (pp. 1-10). New Jersey: Hobe and London
  30. Chaudhuri, A. & Holbrook, M. B. (2001).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The role of brand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65, 81−93 https://doi.org/10.1509/jmkg.65.2.81.18255
  31. Gadner, B. B. & Levy, S. J. (1955). The product and the brand. Harvard Business Review, 33−39
  32. Garvin, D. A. (1984). What does product quality really mean? Sloan Management Review, Fall, 26
  33. Jacoby, J. (1971). A model of multi-brand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3), 25
  34. Kelly, U. U. (1966). Two functions of reference groups. In Proshansky, H. & Seidenbert, B. (Eds.), Basic studies in social psychology (pp. 210-214). New York: Holt
  35.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 1−22
  36.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heory and research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37. Lassar, W., Mittal, B., & Sharma, A. (1995). Measuring customer- 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2(4), 11−19 https://doi.org/10.1108/07363769510095270
  38. Nedungadi, P. (1990). Recall and consumer consideration sets: Influencing choice without altering brand evaluation. Journal of Cosumer Research, 17(3), 263−276 https://doi.org/10.1086/208556
  39. Park C. S. & Srinivasan, V. (1994). A survey-based method for measuring and understanding brand equity and its extendibility. Joumal of Marketing Research, 31(2), 271−288 https://doi.org/10.2307/3152199
  40. Simon, C. J. & Sullivan, M. W. (1993). The measurement and determinants of brand equity: A final approach. Marketing Science, 12(winter), 28−52 https://doi.org/10.1287/mksc.12.1.28
  41. Zeithmal, V. A. (1988). Consumer perception of price, quality and value. Journal of Marketing, 52(July), 2−22 https://doi.org/10.2307/1251446

Cited by

  1. The Influences on Consumers' Brand Preference and Repurchase Intention Through Strategic Visual Merchandising of Fashion Retail Store - Focusing on Global SPA Brands in Korea - vol.23, pp.4, 2014, https://doi.org/10.14774/JKIID.2014.23.4.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