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Members in the Youngsanjeon Hall of Sucknamsa Temple

안성 석남사 영산전 목부재의 수종 분석

  • Park, Won-Kyu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Jeong, Hyun-Min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Kyu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박원규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 정현민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 김상규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Received : 2007.07.10
  • Accepted : 2007.10.14
  • Published : 2008.01.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es of wooden members used in the Youngsanjeon Hall of the Sucknamsa temple in Anseong, Korea. Ninety-five wood samples from pillars, head-penetrating ties, beams, corner rafter, rafter, floor board and other wood members were identified. Seven species identified were hard pine, exotic pine, Zelkova serrata, Ginkgo biloba, Diospyros, Quercus(Cerrus) and Pyrus spp. In the case of pillars, eight were hard pines and the others Zelkova and Pyrus. Species of angle rafter were Ginkgo biloba and Zelkova. and those of beams were one hard pine and one Zelkova. Two purlin samples were Quercus(Cerrus) and rafters were hard pines except one Ginkgo and one exotic pine. Roof-filling timbers were identified as Zelkova and Diospyros spp. The other samples of roof-filling timbers were all identified as hard pines. The use of Ginkgo and several hardwoods in addition to hard pines may indicate supply of local logs near the Sucknamsa temple.

안성 석남사 영산전에 쓰인 주요 목부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기둥, 창방, 대들보, 서까래, 청판 등 총 95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종은 소나무류(경송류), 외래산 소나무류, 느티나무, 은행나무, 감나무속, 배나무속, 참나무속의 상수리나무류 등 7 수종이 식별되었다. 기둥에서는 소나무류(경송류) 8점, 느티나무 1점, 배나무속 1점이 확인되었다. 추녀에서는 은행나무 2점과 느티나무 2점, 대들보에서는 소나무 1점과 느티나무 1점이 나왔다. 주심도리는 2점 모두 상수리나무류이었고, 서까래에서는 은행나무 1점과 외래산 소나무류 1점을 제외하고는 나머지는 소나무류인 것으로 밝혀졌다. 적심목에서 느티나무 1점과 감나무속 1점이 나왔다. 다른 부재는 소나무류가 대부분이었다. 서까래에서 나온 외래산 소나무 1점은 해방 이후 영산전 수리 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소나무류 이외에 다양한 수종의 목재가 사용된 것은 사찰 인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수종들을 이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1995. 석남사 영산전. 한국의 고건축 제17호.
  2. 김소희, 이진경, 정성호, 정수경. 2005. 수타사 대적광전의 기둥식별. 2005 학술발표논문집, 한국목재공학회. pp. 280-283.
  3. 문화재청. 2005. 문화재표준시방서
  4. 박병수, 정성호, 박정화, 서준원. 2005. 목조문화재 기둥 부재의 수종구성 I. 2005 학술발표논문집. 한국목재공학회. pp. 284-286.
  5. 박병수, 정성호, 서준원. 2004. 진남관 기둥부재의 수종 구성. 2004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한국목재공학회. pp. 217-219.
  6. 박상진, 이원용, 이화형. 1997. 목재조직과 식별. 향문사.
  7. 박상진, 정기호, 김재우. 1999. 고려대장경 경판전 기둥의 재질. 목재공학. 27(1): 1-8.
  8. 박상진. 1983. 범어사 및 무량사 고건축재의 구조와 수종. 보존과학연구. 4: 59-69.
  9. 박상진. 1984. 무위사 극락전 고목재의 수종. 강진 무위사극락전수리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pp. 105-114.
  10. 박상진. 1997. 삼국사기에서 본 옛 나무. 산림. 6: 132-139.
  11. 박원규, 김세종. 2004. 경복궁 근정전 목부재의 수종분석. 목재공학. 32(1): 88-95.
  12. 박원규, 김요정, 김상규, 이기성. 2004. 연륜연대측정 및 수종분석. 강화 정수사 법당 실측.수리보고서. 문화재청. pp. 323-325.
  13. 박원규, 남태광, 2005. 영광 불갑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목재공학. 33(3): 11-21.
  14. 박원규, 이광희. 2007. 우리나라 건축물에 사용된 목재수종의 변천. 건축역사연구. 16(1): 9-28.
  15. 안영희. 2003. 경기도 안성지역의 노거수 식물유전자원 분포 및 실태.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6: 99-108.
  16. 엄영근, 허광수, 김화성. 2003. 고건축물(광주 고원희가옥) 구조부재의 수종식별. 2003 학술발표논문집. 한국목재공학회. pp. 112-115.
  17. 이창복. 1999. 樹木學. 향문사.
  18. 이필우. 1997. 한국산 목재의 성질과 용도 (I)(II). 서울대출판부.
  19. 임업연구원. 1994. 한국산 주요목재의 성질과 용도.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제95호.
  20. 伊東降夫. 1995. 日本産広葉樹材の解剖学的記載(I-V). 京都大学木質科学硏究所. 京都.
  21. Yamabayashi, N. 1938. 朝鮮産 木材の識別. 朝鮮總督府林業試驗場.
  22. Barefoot, A. C. and F. W. Hankins. 1982. Identification of Modern and Tertiary Wood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pp. 173-176.
  23. Eom, Y. G., H. S. Kim, and G. Z. Xu. 2005.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structural members of the Beomeo Temple. Mogjae Gonghak. 33(2): 1-7.
  24. Ilvessalo-Pfaffli, M.-S. 1995. Fiber Atlas-Identication of Papermaking Fibers. Springer-Verlag. Berlin. p. 68.
  25. Vidakovic, M. 1991. Conifers-Morphology and Variation. Grafickizavod Hrvatske. Croatia. p. 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