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Vegetation Foundation for Rooftop Greening Using Wood Waste

폐목질 자원을 이용한 옥상녹화용 식생기반재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Dae-Young (College of Life Resource Science,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Dongguk University) ;
  • Kim, Mi Mi (College of Life Resource Science,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Dongguk University)
  • 김대영 (동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 김미미 (동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2007.10.03
  • Accepted : 2007.12.20
  • Published : 2008.01.25

Abstract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on rooftop greening that can be installed in abandoned spaces on a building roof. The most important issue in rooftop greening is the soil weight problem. The light greening materials are needed to solve this problem. Therefore, many alternative materials against the soil were investigated for rooftop greening. In this study, the waste wood chips and the waste paper slurry were evaluated as the lightweight vegetation foundation for rooftop greening. It also has a meaning for recycling of waste materials. The mixture ratio of waste wood chips to waste paper slurry for the board (the foundation of greening) was 60 to 40. The wet strength resin and the sizing agent were additionally added with different amount. After the forming of the boar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tested with the variation of wet strength resin and sizing agent. As the result of the test, the board with 15% of wet strength resin in the wet condition showed the highest strength. Futhermore, the moisture evaporation loss from the board surface with sizing agent was much lower than that from the board without sizing agent. Therefore, it was clear that the sizing agent was effective for water retention. The change of thickness in the wet condition was less than 1 mm, and it showed that the board is the predominant material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The average pH value of the board was ranged from 7.6 to 8.25.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도시 곳곳에 인공구조물이 건설되면서 녹지공간이 줄어들고 있다. 녹지공간의 축소는 도시의 열섬현상, 지구온난화 등을 가중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를 가져왔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물의 옥상과 같이 버려진 공간을 이용한 옥상녹화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옥상녹화 시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 것은 건물에 미치는 토양의 하중으로 건물에 부하되는 하중을 줄이기 위해 경량성 녹화소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성 소재인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를 이용하여 녹화용 식생기반재를 제작하였다.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의 사용은 자원을 재활용한다는 의미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를 60 : 40으로 혼합하고 습윤지력증강제의 처리를 달리하였고, 보수력을 위해 표면사이즈제를 처리하여 각 처리 조건에 따라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15%의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한 식생기반재가 습윤 시 최대의 강도를 보였고, 표면사이즈제를 도포하지 않은 식생기반재에서는 도포한 것에 비해 높은 수분증발량을 보여 표면사이즈제가 보수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흡수 시 두께변화는 1 mm 이하로 그 변화가 적어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식생기반재의 pH는 7.6~8.25로 중성에서 약 알카리성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1995. 아파트 단지내 인공지반 조경녹화방안 연구. 대한주택공사.
  2. 심경구, 허근영, 강호철. 1999. 소성 점토다공체 및 코코넛 피트를 이용한 인공지반용 혼합배지의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27(3): 109-113.
  3. 윤소원. 2005. 생물서식지 환경평가모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3): 53-66.
  4. 윤소원, 이동근. 2003. 인공녹화 공간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3): 86-96.
  5. 이성기. 2002. 펄라이트로 조성된 토양층의 하중. 한국조경학회지. 30(1): 87-95.
  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5. 환경친화형 인공지반 녹화향상소재개발.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5. 복합기능 생태적 조성 기술개발.
  8. 환경부. 1999. 보급형옥상녹화 가이드북.
  9. 현대건설 기술연구소. 1997. 인공지반 조경 녹화기술에관한 연구. 현대건설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