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ly Species Composition of Upstream-Migrating Fish in the Cheonjeyeon Estuary of Jeju, Korea

제주 천제연 하구 소상어류의 월별 종조성

  • Received : 2008.05.21
  • Accepted : 2008.09.12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Monthly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upstream-migrating fish in the Cheonjeyeon Estuary was determined by analyzing fish data collected January~September 2004 and January~August 2007. Fish migrating from the sea to freshwater through the channels were collected by a rectangular net with a mesh size of 2 mm during the day and at night in the new moon. Of 14 species collected, ayu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 and mullet (Mugil cephalus) predominated in abundance. Glass eels (Anguilla japonica) occurred mainly during the night from February to May. Other fishes collected included brackish-water gobiids (Gymnogobius urotaenia, Rhinogobius giurinus, Tridentiger obscurus, and Sicyopterus japonicus), freshwater fishes (Misgurnus anguillicaudatus and Rhynchocypris oxycephalus), and coastal marine fishes (Engraulis japonicus, Pempheris japonica, Plotosus lineatus, Takifugu niphobles, and Terapon jarbua). Ayu occurred during almost all sampling periods. They ranged principally from 55 to 100 mm total length (TL), with some fish larger than 100 mm TL collected after April. Mullet also occurred during almost all sampling periods. They ranged principally 25~58 mm TL, with some larger fish of 103~240 mm TL collected in February and April. That only a few freshwater and brackish-water fishes occurred in the study area is probably related to the freshwater systems having long been isolated from the continental systems and to the poorly developed estuaries in Jeju Island reflecting limited river discharge.

2004년 1월에서 9월 및 2007년 1월에서 8월 사이 천제연 하구에서 소상하는 어류를 채집하여 월별 밤과 낮의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천제연 하구의 하천과 바다 사이에 건설된 보의 수로에 망목 2 mm의 그물을 설치하여 매월 그믐 밤과 낮에 바다에서 민물로 소상하는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와 숭어 (Mugil cephalus)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강하성 어류인 실뱀장어(Anguilla japonica)가 소상 시기인 2월에서 5월 밤에 주로 채집되었고, 기수성인 갈문망둑(Rhinogobius giurinus), 검정망둑(Tridentiger obscurus), 열동갈문절(Sicyopterus japonicus)과 꾹저구(Gymnogobius urotaenia) 같은 망둑어류가 채집되었다. 담수어류인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가 소량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간조 때 담수를 따라 바다로 이동된 후 만조 때 다시 담수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채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산어인 멸치(Engraulis japonicus), 주걱치(Pempheris japonica), 쏠종개 (Plotosus lineatus), 복섬 (Takifugu niphobles)이 소량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만조 때 담수로 유입되는 해수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채집된 것으로 보인다. 은어는 조사기간 동안 계속 채집되었으며, 전장(TL) 55~100 mm인 개체들이 주로 채집되었으나 4월 이후에는 100 mm TL보다 큰 개체들도 채집되었다. 숭어도 조사기간 동안 계속 채집되었으며, 대부분 전장 범위가 28~58 mm 사이였으나, 2월과 4월에는 103~240 mm TL의 큰 개체들도 채집되었다. 제주도의 하천은 육지로부터 고립되었고 그 길이도 짧아 담수종의 수가 적고 기수역이 발달하지 않아, 담수종이나기수성 어류가 많지 않은 관계로 소상 어류상이 빈약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

References

  1. 고명훈. 김익수. 박종영. 이용주. 2007. 옥정호 육봉형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Pices: Osmeridae)의 서식 분포와 생태. 한국어류학회지, 19: 24-34
  2. 곽석남. 허성회. 2003. 낙동강 하구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6: 129-135
  3. 김병직. 2006. 제주도 담수어류와 외래도입종. 제주대학교 해양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30: 9-19
  4. 김익수. 최 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5. 문형태. 2002. 실뱀장어 이석의 미세구조와 어획 자료를 이용한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초기 생활사. 충남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 논문, 111pp
  6. 박상덕. 신승숙. 안효윤. 마수봉. 황종서. 2004. 한강 잠실수중보 계단식어도의 어류소상기능 평가. 한국수자원학회지, 37: 541-551
  7. 양계청. 1994. 제주도 북부지역의 담수어류 분포조사. 제주도민속 자연사박물관 조사연구보고서, 9: 65-72
  8. 양계청. 1995. 제주도 남부지역의 담수어류 분포조사. 제주도민속 자연사박물관 조사연구보고서, 10: 161-168
  9. 양홍준. 김구환. 금지돈. 2001. 낙동강하구의 어류상과 댐의 어 도에서 어류의 이동. 한국육수학회지, 34: 251-258
  10. 이완옥. 김익수. 1994. 제주도의 어류목록. 한국어류학회지, 6: 256-258
  11. 이인균. 전상린. 변화근. 1999. 제주도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 여. 상명대학교 기초과학연구, 6: 1-28
  12. 이태원. 문형태. 김광천. 2003. 방조제 건설 중인 2001-2002년 새만금 하구역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6: 298-305
  13. 이태원. 황학빈. 황선완. 2007.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완공 후인 2006-2007년 새만금호 어류 종조성의 변화. 해양학회지-바다, 12: 191-199
  14.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727pp
  15. 조재윤. 1980. 제주도의 담수어류상에 관하여. 제주대학교 해양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4: 7-14
  16. 황금화. 전상린. 김미옥. 황종서. 1992. 금강 하류의 어류상에 관하여. 상명대학교 기초과학연구, 6: 53-74
  17. 황선완. 황학빈. 노형수. 이태원. 2005. 개량안강망에 채집된 금 강하구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8: 39-54 https://doi.org/10.5657/kfas.2005.38.1.039
  18. 황선완. 2006. 금강과 만경강 하구 어류의 출현 양상과 서식처 이용.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5pp
  19. 황종서. 이승호. 허 협. 1999. 하구에 설치한 어도의 이용에 관 한 연구.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179pp
  20. 황종서. 허 협. 2000. 양양 남대천과 영덕 오십천의 어도 및 어류의 소상. 한국농공학회지, 42: 70-77
  21. 황종서. 2000. 영암호 갑문식어도를 통한 어류의 회유.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3: 561-568
  22. Blaber, S.J.M. and T.G. Blaber. 1980.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juvenile estuarine and inshore fish. J. Fish Biol., 17: 143-162 https://doi.org/10.1111/j.1095-8649.1980.tb02749.x
  23. Chang, C.W., Y. Iizuka and W.N. Tzeng. 2004. Migratory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grey mullet Mugil cephalus as revealed by otolith Sr: Ca ratios. Mar. Ecol. Prog. Ser., 269: 277-288 https://doi.org/10.3354/meps269277
  24. Day, J.W., C.A.S Hall, W.M. Kemp and A. Yanez-Arancibia. 1989. Estuarine ecology. Wiley-Interscience, New York, 558pp
  25. Houde, E.D. and E.S. Rutherford. 1993. Recent trends in estuaries fisheries: Predictions of fish production and yield. Estuaries, 16: 161-176
  26. Tachihara, K. and S. Kimura. 1991. Maturity and spawning of land locked ayu Plecoglossus altivelis in Lake Ikeda, Kagoshima Prefecture. Nippon Suisan Gakkaishi, 57: 2187-2192 https://doi.org/10.2331/suisan.57.2187
  27. Percy, W.G. and S.S. Myers. 1974. Laval fishes of Yaquina Bay, Oregon: a nursery ground for marine fishes? Fish. Bull., 72: 201-213
  28. Potter, I.C., P.N. Claridge and R.M. Warwick. 1986. Consistency of seasonal changes in an estuarine fish assemblage. Mar. Ecol. Prog. Ser., 32: 217-228 https://doi.org/10.3354/meps032217
  29. Potter, I.C., L.E. Beckley, A.K. Whitfield and R.C.J. Lenanton. 1990. Comparison between the roles played by estuaries in the life cycles of fishes in temperate western Australia and southern Africa. Env. Biol. Fish., 28: 143-178 https://doi.org/10.1007/BF00751033
  30. Valesini, F.J., I.C. Potter, M.E. Platell and G.A. Hyndes. 1997. Ichthyofaunas of a temperate estuary and adjacent marine embayment. Implications regarding choice of nursery area and influence of environmental changes. Mar. Biol., 128: 317-328 https://doi.org/10.1007/s002270050097
  31. Uchida, K. and K. Tsukamoto. 1990. Ayu propag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stocking. II. Behavioural aspects of the fish quality. In: The Second Asian Fisheries Forum. Asian Fisheries Society, Manila, pp. 229-232
  32. Yamada, U., M. Takawa, S. Kishida and K. onjo. 1985. Fishes of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Seikai Reg. Fish. Res. Lab., Japan. 510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