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Application of Wave Travelling Effect and Local Site Effect to Design Standard for Analysing Seismic Behavior of Long-Span Cable-Stayed Bridge

장대사장교의 지진거동 분석시 지반특성 및 파동전달효과를 고려한 설계기준 적용에 대한 고찰

  • 박연수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송영봉 (전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현기환 (전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이순남 (전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양원열 (전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7.07.10
  • Published : 2008.01.30

Abstract

Number of long-span bridge construction has been increased recently so that seismic consideration of design has become significant. To adapt such significance to design, seismic design in the newly revised 'Cable Steel Bridge Design Handbook' specifies some of wave travelling effect and local site effect. In this study, a cable-stayed bridge with main span of 500m is analysed having variables of uniform excitation, wave travelling effect, and wave travelling effect plus local site effect. Result shows that wave travelling effect in cable-stayed bridge affects considerably to its seismic response under weak soil condition even though the span length is relatively short. What's more, regardless of soil type, the seismic response has become higher for analysis with wave travelling effect and local site effect than with wave travelling effect only. Consequently, in seismic response analysis of long-span bridg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application of wave travelling effect and local site effect.

최근 국내에서 장대교량의 건설이 증가함에 따라 그에 대한 내진설계의 중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이와같은 여건을 반영하여 새로 개정된 케이블 강교량 설계지침(안)의 내진설계편에서 지진파의 파동전달효과와 지반특성효과를 일부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설계규정에 따라 사장교(주경간500m)의 다양한(균등입력, 파동전달효과, 파동전달효과+지반특성효과)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여 설계적용시 문제점에 대하여 검토해 본 결과 장대교의 파동전달효과는 지지점간 거리가 짧은 경우에도 지반이 연약한 경우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반의 종류에 상관없이 파동전달효과와 함께 지점별로 지반특성을 고려한 해석이 그렇지 않은 해석결과보다 큰 값이 산출되었다. 따라서 장대교의 지진응답해석시 파동전달효과 및 지반특성효과의 적용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민, 이명규, 신용우, "다지지점 지진입력에 대한 현수교의 지반-구조물 상호작용해석", 한국지진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3, pp. 182-189
  2. 김호경, 서정인, "다중지지된 자정식 현수교의 비선형 지진응답 해석",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제1권, 제3호, 1997, pp. 45-58
  3. 김효건, 최광규, 엄영호, 권영록, "기초-지반 상호작용을 고려한 교량의 다지점 입력 지진해석 기법", 한국지진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6, pp. 284-291
  4. 현창헌, "현수교의 풍하중과 지진하중에 대한 추계론적 거동해석", 박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원 토목공학과, 1989, 2
  5. 건설교통부, "내진설계기준연구(II)", 1997
  6. 한국도로교통협회, "건설교통부 제정 도로교설계기준", 2005
  7. 대한토목학회, "케이블강교량설계지침(안)", 2006
  8. 김두기, "구조동역학", 구미서관
  9. Anil K. Chopra, "Dynamics of Structures", Prentice-Hall
  10. Abdel-Ghaffar, A.M, "Cable-stayed bridges under seismic action", Elsevier Science Publish ers B.V, 1991
  11. Abdel-Ghaffar, A.M, and Nazmy, A.S. "Effects of Ground Motion Spatial Variability on The Response of Cable-Stayed Bridges", Int.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Vol. 21, No. 1, 1992, pp. 1-20 https://doi.org/10.1002/eqe.4290210101
  12. Baron, F., Arikan, M., and Hamati, E., "The Effect of Seismic Disturbances on the Golden Gate Bridge, Report No. EERC 76-31",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Univ. of California, Berkeley, CA, USA
  13. Dumanoglu, A.A., Brownjohn, J.M.W., and Severn, R.T., "Seismic analysis of the Faith Sultan Mehmet(Second Bosporus) suspension Bridge", Earthq. Eng. & Strut. Dyn., Vol.21, 1992, pp. 881-906 https://doi.org/10.1002/eqe.4290211004
  14. Ito, M., Fujino, Y., Miyata, T. and Naritam N. "Cable-Stayed Bridges", Elsevier, 1991
  15. J. H. Ernst, Der E-modul von seilen under Berucksichtigung des durchhanges, Der Bauingenieur 1965. 2
  16. Hyun,C-H., Yun, C-B., and Lee, D-G., "Nonstationary Response Analysis of Suspension Bridges for Multiple Support Excitations", Probabilistic Engineering Mechanics, Vol.7, No. 1, pp. 27-35 https://doi.org/10.1016/0266-8920(92)90006-4
  17. Liu, W.D., Chang, K., Imsen, R.A., "Nonlinear Seismic Evaluation for Retrofit Design of Major Bridges Including SFSI Effec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Seismic Conference on Bridges and Highways, Sacramento, CA, USA, July 8-11, pp. 299-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