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disposing factors to nipple confusion

모유 수유에서 유두 혼란에 영향을 주는 인자

  • Kim, Ji 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Cha, Og Ryeon (Department of nursing,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Seo, Yu K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Lee, Sun Ju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Cho, Sung M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Park, Byung Cha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김지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차옥련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
  • 서유경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선주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조성민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병찬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Received : 2007.09.04
  • Accepted : 2008.01.09
  • Published : 2008.04.15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disposing factors for nipple confusion by using questionnaires. Methods :From October, 2005 to October, 2006, we performed a survey on guardians of neonates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nursery at Dongguk University Medical Center and were discharged 10 to 14 days before the survey. We reviewed their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The neonate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nipple-unconfused group and nipple-confused group. Results :There were 71 neonates in the nipple-unconfused group and 29 neonates in the nipple-confused group. In the nipple-confused group, 12 neonates (41.4%) had nipple-suckling experience before admission, whereas in the nipple-unconfused group, 54 neonates (76.1%) had nipple-suckling experience before admission; showing a difference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Regarding to breast-feeding experience before admission, 11 neonates (37.9%) had experience in the nipple-confused group, whereas 49 neonates (69.0%) had in the nipple-unconfused group. This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4).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of breast-feeding prior to hospitalization was not different (P=0.151). Conclusion :In this study, we believe that the suckling experience and the breast-feeding of neonates before admission may be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nipple confusion. This study particularly revealed that neonates who had only nipple suckling experience, regardless of breast-feeding, had less nipple confusion. Thus, allowing neonates enough time to make an attempt at nipple suckling may be helpful to prevent nipple confusion.

목 적 : 저자들은 유두 혼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통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동국대학교 포항 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했던 신생아 100명과 그들의 수유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전히 직접 젖을 물려서 모유 수유를 시행하는 경우만 유두 혼란이 없는 것으로, 아기가 직접 젖을 물지 않으려 하여 우유병으로만 수유하는 경우나 직접 젖을 물리더라도 그 양이 충분치 못하여 우유병 사용을 병행하는 경우를 유두 혼란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여 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조사하였다. 결 과 : 유두 혼란이 있는 군에서 입원 전 직접 젖을 물어 본 경우가 12명으로 41.4%였고, 물려 보지 못한 경우가 17명으로 58.6%이었던 것에 비해, 유두 혼란이 없었던 군에서는 직접 젖을 물려 본 경우가 54명으로 76.1%였고, 물려보지 않았던 경우가 17명으로 23.9%를 차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입원 전 모유 수유 경험 여부와 유두 혼란간의 관계에서는 유두 혼란이 있는 경우는 경험이 있는 경우가 11명으로 37.9%, 경험이 없는 경우가 18명으로 62.1%였던 것에 비해, 유두 혼란이 없는 경우 모유 수유 경험이 있었던 경우가 49명으로 69.0%였고 경험이 없었던 경우가 22명으로 31.0%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P=0.004). 반면 입원 전까지 모유 수유를 했던 기간과 유두 혼란 간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P=0.09). 입원 기간과 유두 혼란과의 관계에서는 유두 혼란이 있는 신생아의 평균 재원일이 $11.8{\pm}7.4$일, 유두 혼란이 없는 신생아는 $9.2{\pm}6.1$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P=0.073), 질병의 경중도가 유두 혼란에 미치는 영향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 0.151).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유두 혼란과 관계있는 인자로 직접 젖을 물어봤던 경험과 입원 전까지의 모유 수유 여부가 의미 있게 나타났다. 특히 모유 수유 여부와 관계없이 출생 이후부터 입원 전까지 직접 젖을 물어 본 경험만으로도 유두 혼란이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직접 젖을 물기까지의 시간을 도출한다면 모유 수유 실천에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UNICEF. The state of the world's children. Oxford Univ Press 1999
  2. Hwang Wj, Chung Wj, Kang DR, Suh MH Factors affecting breastfeeding rate and duration. J Prev Med Public Health 2006;39:74-80
  3. Neifert M, Lawrence R, Seacat J. Nipple confusion: toward a formal definition. J Pediatr 1995;126:S125-9 https://doi.org/10.1016/S0022-3476(95)90252-X
  4.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Committee on Nutrition. Breastfeeding in outpatient clinic. Seoul.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2:71
  5.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Committee on Nutrition. Infant nutrition. Seoul.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0:46
  6. Fisher C. A midwife's view of the history of modern breastfeeding practices. Int J Gynaecol Obstet 1990;31(1 suppJ):47-50
  7. Seo rw, Kim Yj, Lee KH, Kim JY, Sim JG, Kim HS et al. A survey on the understanding of breast-feeding in pregnant woman. J Korean Pediatt Soc 2002:45:575-87
  8. Leefsma M, Habatsky T. The influence of hospital routine on successful breast feeding.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518. Amsterdam: Excerpta Media, 1980
  9. King FS. The first weeks of breast feeding. IPPF Med Bull 1984;18:2-3
  10. Casey CE, Neifert MR, Seacat JM, Neville MC. Nutrient intake by breast-fed infants during the first five days after birth. Am J Dis Child 1986;140:933-6
  11. Sosa R, Kennell JH, Klaus M, Urrutia JJ. The effect of early mother-infant contact on breast feeding, infection and growth. Ciba Found Symp 1976:45:179-93
  12. Klaus MH, Kennell JH. Maternal-infant interation: implications for adolescent mothering. Birth Defects Orig Artic Ser 1981;17:1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