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Excercise in a Forest Environment on Blood Pressure, Heart Rate, MDA and SOD

산림 운동이 혈압, 심박수, 과산화지질,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 Choi, Jonghwan (Deptment of Sports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Shin, Won Sop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Seo, Kyeong-Won (Deptment of Sports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a, Wook-Seong (Deptment of Sports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Yeon, Poung Sik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Yoo, Ri Wha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최종환 (충북대학교 자연대학 체육학과) ;
  • 신원섭 (충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학과) ;
  • 서경원 (충북대학교 자연대학 체육학과) ;
  • 차욱승 (충북대학교 자연대학 체육학과) ;
  • 연평식 (충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학과) ;
  • 유리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영과)
  • Received : 2008.06.23
  • Accepted : 2008.07.08
  • Published : 2008.09.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rest exercise on blood pressure, heart rate, MDA, and SOD. Twelve volunteers were placed in 2 groups: Forest Exercise Group (FEG, n=6; $age=44.2{\pm}2.68$) and Indoor Exercise Group (IEG, n=6; $age=45.6{\pm}2.97$). The subjects who joined this investigation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forest exercise and/or indoor exercise. Blood pressure, heart rate, MDA, and SOD were collected at rest, just after the submaximal exercise, and 30 minutes after each exercise. For data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cores were calculated, and ANCOVA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 1)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FEG and IEG on systolic blood pressure after submaximal exercise and at 30 minutes after each exercise., however FEG showed better stability than IEG on diastolic blood pressure at 30 minutes after forest exercise. 2) Both groups showed similar change of heart rate and MDA after submaximal exercise and at 30 minutes after each exercise. 3) Both groups similarly activated on the SOD level after submaximal exercise. However, compared to IEG, FEG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n SOD level at 30 minutes after forest exercis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forest exercise may have good effects on blood pressure and MDA, and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산림의 건강 기능은 최근 많은 사회적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는 6명의 실내 운동집단과 6명의 산림내 운동집단의 혈압, 심박수, 과산화지질, 항산화효소의 비교를 통하여 산림 내 운동이 인체의 생리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2명의 참여자의 평균 연령은 40세 이상의 여성이었고, 운동 전 후 혈압 및 심박수의 측정과 채혈을 통하여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의 분석 결과 산림 운동 시 이완기 혈압은 실내 운동 집단보다 현저하게 낮아졌다. 또한 산림 운동과 실내 운동 참여자의 심박수 및 과산화지질(MDA) 수준의 변화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항산화효소(SOD) 변화에서는 운동 후 안정 시 30분에 산림 운동 집단의 SOD 수준이 급격히 감소되는 변화를 보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산림의 건강 증진 효과 조사

Supported by : 산림청

References

  1. 곽이섭, 박전한, 백일영, 성제경, 우진희, 오승현, 2001. 유산소 훈련이 유전성 고지혈쥐(RICO)의 항산화효소에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0(1): 348-355.
  2. 김기진, 2002. 운동과 공기환경. 한국생활환경학회지 9(2): 136-139.
  3. 김현준, 최종환, 김현주, 2005. 비만, 규칙적인 운동 강도가 과산화지질과 항산화 효소 생성에 미치는 영향. 발육발달학회지 13(4): 51-61.
  4. 김희철, 2006. 12주간 유산소성 복합운동과 운동강도가 노인 비만여성의 체지방, 심혈관계 기능, MDA, CRP와 Homocysteine 농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17
  5. 신원섭, 김은일, 이상익, 송형섭, 김조천, 2001. 산림의 건강기능을 이용한 프로그램 사례와 적용. 한국산림휴양학회지 5(1): 33-44.
  6. 오해근, 김기진, 조성봉, 2001. 비만인의 지속적 운동시 운동강도에 따른 생리적 변인의 변화.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5: 593-607.
  7. 유병팔, 1997. 125세까지 걱정 말고 살아라. 에디터. 서울. pp. 187.
  8. 임완기, 정덕조, 1998. 운동중 산소 유리기와 반응성 산소화합물. 한국스포츠리서치 9(3): 271-280.
  9. 조성봉, 김기진, 오해근, 2001. 비만인의 지속적 운동시 운동강도에 따른 생리적 변인의 변화.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5: 608-620.
  10. 백일영, 곽이섭, 성제경, 우진희, 박전한, 오승현, 2001. 유산소 훈련이 유전성 고지혈쥐(RICO)의 항산화효소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0: 40-50.
  11. Jenkins, R.R. 1988. Free radical chemistry, relationship to exercise. Sports Med.: 156-170.
  12. Ji, L.L. 1996. Exercise,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4(6): S20-S24. https://doi.org/10.1177/036354659602406S05
  13. Maxwell, S.R., 1995. Prospects for the use of antioxidant therapies. Drugs 49(3): 345-361. https://doi.org/10.2165/00003495-199549030-00003
  14. Newaz, M.A. and Nawal, N.N.A. 1998. Effect of a-Tocopherol on lipid peroxidation and total antioxidant statu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Am. J. Hypertention 11: 1480-1485. https://doi.org/10.1016/S0895-7061(98)00167-8
  15. Renznik, A. Z., Steinhagan, T. E. and Gershon, D. 1992. The effect of exercise on enzymes activities in cardiac muscle of mice of various ages. Biochemical Medicine 28: 347-352. https://doi.org/10.1016/0006-2944(82)90089-8
  16. Shern-Brewer, R, Santanam, N., and Wetzstein, C. 1988. Exercise and cadiovascular disease: A new perspective.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18: 1181-1187.
  17. Van Gaal, L. F. Vertommen, J. and De Leeuw, I. H. 1998. The in vitro oxidizability of lipoprotein particles in obese and non-obese subjects. Atherosclerosis 137(17): 233-250. https://doi.org/10.1016/S0021-9150(97)00249-9
  18. Vincent, H. K, Powers, S. K, Stewart, D. J., Demirel, H. A., Shanely, R. A, and Naito, H. 2000. Short-term exercise training improves diaphragm antioxidant capacity and endurance. Eur. J. Appl. Physiol. 81(1-2): 67-74 https://doi.org/10.1007/PL00013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