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잦은곳 발생분포를 활용한 개선사업 구간선정 방안

Identification Method for Hazardous Road Sections Based on Black Spot Distribution

  • 발행 : 2008.06.30

초록

현재 시행 중인 지점단위 사고잦은곳 개선사업은 매년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으나, 효율성 제고방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구간단위 개선사업은 방법론에 있어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개선사업 및 미개선사업 지점으로 부터 사업 차년도 신규 사고잦은곳에 이르는 거리자료를 분석하여, 적정 개선사업 구간길이 및 구간설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거리자료 분석결과, 개선사업을 실시한 교차로로부터 2Km 내 신규 사고잦은곳이 발생할 확률이 미개선 교차로 지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선사업 내역별 거리분포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상호 인접거리가 2km내에 있는 일련의 사고잦은곳을 포함하는 구간을 개선사업 후보구간으로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Even though the efficiency of a point based black spot improvement project has been low, none of solid methodology, which is based on section not point, and is considered as one of the promising substitute, has not been come up with yet. Thus, this research aims at proposing the adequate length of a hazardous section and a method to set segment length over which the project needs to be performed on rural highways by analyzing the distances from project-conducted sites to new black spots in the following year and distances between project needed but not conducted sites and new black spots in the following year.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robability of being a new black spot near the project conducted intersection is higher than that of a non-conducted intersection within 2km, however, no strong relationships between project types and distance distribution have been found. Based on those findings, a method to determine the target segment including adjacent black spots within 2 kilometers-range was propo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2002), "사고잦은곳 개선사업 업무편람"
  2. 김정현.이수범.박병정 (2002), "교통사고 잦은 지점 및 구간 선정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3. 교통개발연구원 (1989), " '87 사고많은 지점 개선사업에 대한 효과평가"
  4.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1), "전국 시도 및 도로별 사고 잦은 곳 현황"
  5.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2), "전국 시도 및 도로별 사고 잦은 곳 현황"
  6.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3), "전국 시도 및 도로별 사고 잦은 곳 현황"
  7.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4), "전국 시도 및 도로별 사고 잦은 곳 현황"
  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5), "전국 시도 및 도로별 사고 잦은 곳 현황"
  9.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5), "2005년 교통사고 잦은곳 기본개선계획 및 효과분석"
  10.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6), "2006년 교통사고 잦은곳 기본개선계획 및 효과분석"
  11. 설재훈.김영호.채찬들 (2006), "도로교통 안전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한국교통연구원
  12. 임평남 외 (2006), " '05. 도로교통 사고비용의 추계와 평가",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13. 최병호.배중철.이승택 (2005), "교통사고 조사 및 분석체계 구축방안 연구", 교통안전공단
  14. 최병호 외 (2006), "자치단체 관할도로의 사고누적평가 및 관리기술 개발(I)", 교통안전공단
  15. 홍정열.도철웅 (2002), "신호교차로에서의 사고예측모형개발 및 위험수준결정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7호, 대한교통학회, pp.155-166
  16. D. W. Harwood et al. (2002), "Safety Effectiveness of Intersection Left- and Right- Turn Lanes", FHWA-RD-02-089
  17. Goodell-Grivas, Inc. (1981), "Highway Safety Improvement Program", FHWA-TS-81-218
  18. Meuleners L. et al. (2005),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Black Spot Programs in Western Australia, 2000-2002", Injury Research Centre of th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19. R. Elvik (1997), "Evaluation of Road Accident Blackspot Treatment: A Case of the IronLaw of Evaluation Stud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29, No.2, pp.191-199 https://doi.org/10.1016/S0001-4575(96)00070-X
  20. S. Washington et al. (2005), "Validation of Accident Models", FHWA-RD-03-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