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선-지선 노선체계의 효율성

Efficiency of Radial Transit Routes

  • 발행 : 2008.10.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간선-지선 노선체계인 가지형과 지선형 노선체계의 이용자 비용과 운영자 비용을 비교하여 각 노선체계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지선형 노선체계의 간선구간 시스템이 지선 시스템과 동일할 경우에는 이용자 측면에서 가지형 노선체계가 보다 효율적이다. 간선구간의 시스템이 지선구간의 시스템보다 상위 위계의 시스템일 경우에는 지선형 노선체계의 간선운행 시스템을 통한 통행비용 절감이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환승과 대기비용보다 클 경우에 지선형 노선체계가 기지형 노선체계보다 효율적이다. 이는 격자형 대중교통 노선망에 대해 위계구조 노선망의 효율성을 분석한 박준식 외(2007c)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각 기종점간 통행수요가 적을 경우에는 지선형 노선체계에서 각 지점의 통행수요에 맞추어 운행간격을 증가시켜 차량의 승객 탑승률 또는 운행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운행비용계수 노선길이, 그리고 종점 수가 증가할수록 지선형 노선체계가 효율적일 상황이 증가하고, 환승비용과 통행자의 대기시간 비용환산계수가 증가할수록 지선형 노선체계가 효율적일 상황이 감소한다. 간선구간의 중간에 도시 중심지가 위치하여 승하차 통행수요가 발생하는 경우, 간선의 중간에 위치하는 도시 중심지로의 통행량이 많을수록 지선형 노선체계가 가지형 노선체계보다 효율적일 상황이 증가한다. 따라서 승하차 수요가 집중되는 도시 중심부와 수요가 분산되어 있는 외곽부의 노선체계를 이원화시킬 경우 하나의 노선체계로 운영하는 경우보다 효율적이라 결론내릴 수 있다. 원활한 환승체계를 갖추어 환승비용을 감소시킬 경우 더욱 효과적이라 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iciency of a trunk with branches and a trunk with feeders route system comparing the user cost and operator cost of those route systems. Basically, a trunk with branches is more efficient than a trunk with feeders in the passengers' perspective if the transit system of a trunk and feeders are the same. In the case that the trunk system is hierarchically higher than the feeder system, a trunk with feeders has the competitive edge over a trunk with branches if the saving of travel cost induced by using the trunk line is larger than the increasing waiting and transfer cost.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search by Park et al.(2007c), which analyzed the efficiency of hierarchical structure in a grid transit network. If the travel demand of each origins and destinations is low, increasing headway according to the travel demand can increase passenger load or operating efficiency in a trunk with feeders route system. In this case, a trunk with feeders route system is more prevalent as the operating cost, route length, and number of destinations increases, while it is less prevalent as the transfer cost and passengers' time value of the waiting time increases. In cases that central business district,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a trunk line, generates travel demand, a trunk with feeders is more efficient than a trunk with branches with the increasing travel demand from and to the CBD.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o have a dual operating system between CBD and suburban is more efficient than one type transit system. The efficiency of that system can be increased through an efficient transfer system that can reduce the transfer cost.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승영(1995), "동시환승(Timed-Transfer) 버스시스템", 대한교통학회지, 제13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05-115
  2. 고승영.이양호(1996), "구역분할 버스운영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4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69-80
  3. 고승영(2002), "버스도착시간 정보에 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175-181
  4. 김점산.조혜정.박준식(2007), "시내버스업체의 경영 및 서비스 평가제도 도입 효과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44-55
  5. 박준식.고승영.김점산.권용석(2007), "최적 배차시각 설정에 관한 해석적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137-144
  6. 박준식.고승영.이청원.김점산(2007), "최적 정류장 간격의 해석적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145-154
  7. 박준식.고승영.전경수(2007c), "격자형 대중교통 노선망의 위계구조 효율성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23-133
  8. 박준식.권용석(2007d), "대중교통 노선망 설계에 관한 해석적 연구의 모형 구조와 풀이",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129-140
  9. Byrne, B.F.(1975) "Public Transportation Line Positions and Headways for Minimum User and System Cost in a Radial Case", Transportation Research, 9, pp.97-102 https://doi.org/10.1016/0041-1647(75)90044-1
  10. Byrne, B.F., Vuchic, V.R.(1972) "Public Transportation Line Positions and Headways for Minimum Cost",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Traffic Flow and Transportation, American Elsevier, New York, pp.347-360
  11. Clarens, G.C., Hurdle, V.F.(1975) "An Operating Strategy for a Commuter Bus System", Transportation Science, 9, pp.1-20 https://doi.org/10.1287/trsc.9.1.1
  12. Kho, S.Y.(1990) "Design of Bus Routes for a Many-to-Few Travel Demand", Proceedings of the Eleven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Transportation and Traffic Theory held in Yokohama, Japan, July 18-20, pp.343-362
  13. Kho, S.Y.(2000) "Zigzagging of Bus Routes-An Analytical Approach",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731, pp.10-14
  14. Newell, G.F.(1979) "Some Issues Relating to the Optimal Design of Bus Routes", Transportation Science, 13, pp.20-35 https://doi.org/10.1287/trsc.13.1.20
  15. Vuchic, V.R., Newell, G.F.(1968) "Rapid Transit Inter-Station Spacing for Minimum Travel Time", Transportation Science, 2, pp.303-399 https://doi.org/10.1287/trsc.2.4.303
  16. Vuchic, V.R.(2005) Urban Transit: Operations, Planning, and Economics, John Wiley & Sons, Inc
  17. Wirasinghe, S.C.(1980) "Nearly Optimal Parameters for a Rail/Feeder-Bus System on a Rectangular Grid", Transportation Research, 14A, pp.33-40
  18. Wirasinghe, S.C., Hurdle, V.F., Newell, G.F. (1977) "Optimal Parameters for a Coordinated Rail and Bus Transit System", Transportation Science, 11, pp.359-374 https://doi.org/10.1287/trsc.11.4.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