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표지의 지명 판독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The Obstructing Factors for Safe Driving on Road Signs

  • 이종학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
  • 노관섭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 발행 : 2008.10.31

초록

운전자가 도로를 주행하면서 안내표지판을 인지하고 원하는 목적지로 잘 도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적요소, 표지판의 요소, 기하구조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잘 조화되어 운전자를 이끌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운전자가 표지판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다음 목적지로 갔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성공여부(성공0, 실패1)의 개념을 사용하여 도로표지의 지명 판독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규명하는 것이다. 운전자의 인적요소, 표지판 요소 등을 고려하였으며, 도로주행시뮬레이터(driving simulator)를 이용하여 도로표지의 지명 판독과정에서 안전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선정된 변수를 토대로 Logistic Model을 이용하여 성공여부에 대한 확률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로표지 설계 및 설치에 있어서 도로 이용자에게 보다 좋은 시설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drivers try to read an information on road signs, they can reach their destinations successfully. In this situation, human factors, road signs and geometric condition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a safe driving should be a well-balanced relationship mutually. This research aims to prove the factors obstructing a safe driving, while drivers try to read an information on road signs for the next destination. For this sake, driving simulator was used and human factors, road signs etc. were considered in this experiment. The statistical analysis indicated what factors disturb a safe driving. The probability function using a Logistic Model was presented in this study. This result and experience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in designing better road signs.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6.5), 도로표지관련규정집
  2. 박상범.이성일.홍성희(2000), "이동하는 자극에 대한 시각적 정보의 양이 반응타이밍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39권 제3호, 한국체육학회, pp.279-288
  3. 노관섭.이종학.김종민(2008.3), 도로표지에 대한 고령운전자의 인간공학적 특성과 적정 안내지명 개수에 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8권 제2D호, 대한토목학회, pp. 235-242
  4. 이기영.유태호.이군상.오영태(2006), "도로표지내 글자간 적정 여백률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4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21-32
  5. FHWA(1993), Minimum Retroreflectivity Requirements for Traffic Signs
  6. Synder, R,G., Chaffin, D.B., Scheider, L.W., Foust, D.r., Bowman, B,M., Abdelnour, T.A., Baum, J.K(1975), Basic Bi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Human Neck related to Lateral Hyperflexion Injury, Reporter No. UM-HSRI-BI-75-4. Highway Safety Research Institute,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MI
  7. Schoppert, D. W., Moskowitz, K., Burg, A., & Hulbert, S. (1960). Some principles of freeway directional signing based on motorists' experiences. Highway Research Board Bulletin, 244, pp.3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