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화 염색 나일론 직물의 자외선에 의한 특성 변화 - 색상, 강도 및 표면 특성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Property of Nylon Fabrics Dyed with Safflower Under Ultraviolet-Light(UV) - Focused on the Changes in Color, Strength, and Surface -

  • 신윤숙 (전남대학교 의류학과.생활과학연구소) ;
  • 최승연 (전남대학교 박물관)
  • Shin, Youn-Sook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Seung-You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useum)
  • 발행 : 2008.11.30

초록

홍화 황색소와 홍색소로 염색을 한 나일론 직물에 자외선을 조사 한 후 시료들의 염착량과 색채변화, 표면 특성 변화와 인장 강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소의 종류에 상관없이 자외선 조사시간 증가에 따라 염착량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홍색 소보다는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의 자외선 조사 28일 후의 염착량 보유율이 더욱 낮았다. 2. 색채변화의 경우,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은 $L^*$은 증가하고 $a^*$$b^*$는 감소하였으며, H/VC, ${\Delta}E$등 색채 전반에 퇴색이 나타났다. 홍색소로 염색한 시료들 도 자외선 조사 시간 증가에 따라 $L^*$은 증가하고 $a^*$는 감소하였으며, $b^*$는 증가하였고, H/VC, ${\Delta}E$등 색채 전반에 퇴색이 나타났다. 그러나 홍색소와 황색 소로 염색한 나일론 직물 시료의 조사 28일 후의 색차는 황색소가 더욱 낮아 나일론 직물에는 황색소가 자외선에 대한 견뢰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보인다. 3. 자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표면 특성 변화의 결과, 색소의 종류와 상관없이 조사 28일 후 모든 시료들에서 심한 손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자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인장 강도 변화 결과, 모든 종류의 시료에서 자외선 조사 시간 증가에 따른 강도의 손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홍색소보다는 황 색소로 염색한 나일론 직물 시료들의 인장 강도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roperty of nylon fabrics dyed with safflower red and yellow colorants under Ultraviolet(UV)-light. For this purpose, nylon fabrics dyed with safflower red and yellow colorant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fter uv-light exposure in terms of K/S value, color changes(${\Delta}E$), morphology, and strength retention. K/S value rapidly decreased with increasing exposure time, but K/S value of the samples dyed with safflower red colorants decreased less than that of samples dyed with safflower yellow colorants. In color changes, as increasing exposure time, $L^*$ increased, $a^*$ decreased, $b^*$ increased, and so ${\Delta}E$ increased in samples dyed with safflower red colorants. In color changes, as increasing exposure time, $L^*$ increased, $a^*$ and $b^*$ decreased, and thereby ${\Delta}E$ increased in the samples dyed with safflower yellow colorants, indicating fading away by uv-light and changes of hue, value and chroma value. But the color change of samples dyed with safflower yellow colorants was less than that of samples dyed with safflower red colorants. SEM pictures showed a severe degradation by uv exposure, regardless of colorants type. Tensile strength slowly decreased until 14 days, and rapidly decreased until 28 days. Strength retention of the samples dyed with safflower yellow colora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amples dyed with safflower red colora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성동(1995). 나일론/면 혼방 직물의 염색에 관한 연구. 학술지, 39(2), 241-248
  2. 김성련(2003). 피복 재료학. 서울: 교문사
  3. 김은애, 여숙영, 이동화(1998). 세라믹스 처리된 나일론 직물의 원적외선 방사성능과 보온 효과. 한국의류학회지, 22(4), 515-524
  4. 김인영, 송화순, 오수민(1999). 나일론 6직물의 아크릴산 그라프트 중합과 그라프트 나일론의 세척성. 한국의류학회지, 23(7), 1064-1072
  5. 배정숙, 허만우(2003). 괴화 추출문에 의한 모와 나일론 직물의 염색성. 대한가정학회지, 4(2), 107-121
  6. 배정숙, 허만우(2006). 코치닐에 의한 나일론 직물의 천연 염색성과 항균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6), 702-708
  7. 송경헌, 유혜자, 이혜자, 김정희, 이전숙, 안춘순 외(2003). 의류 재료학. 서울: 형설출판사
  8. 송화순, 박수미(1999). 키토산과 콜라겐의 혼합물로 처리한 나일론 직물의 항균성 및 물성. 한국의류학회지, 23(3), 414-422
  9. 오경화, 김성훈, 성재환(2000). 폴리아닐린/나일론 6 복합직물의 전기 전도도 향상 연구. 폴리머, 24(5), 673-681
  10. 이혜자, 유혜자, 김정희, 한영숙(2002). 나일론의 천연 염색과 염색포의 항균성. 대한가정학회지, 40(11), 93-105
  11. 전병철, 정대원(1999). 음이온 중합에 의한 나일론 6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과 기계적 성질에 대한 연구. 폴리머, 23(3), 329-337
  12. Daniela, C., & Gerard, V.(2006). Improving light fastness of natural dyes on cotton yarn. Dyes and Pigments, 70, 238-245 https://doi.org/10.1016/j.dyepig.2005.03.006
  13. Giles, C. H., Baxter, G., & Rahman, S. M. K.(1961). Studies of high fastness to light in coloring matters in hydrophilic substrates. Textile Research Journal. 31(10), 831-844 https://doi.org/10.1177/004051756103101001
  14. Tsutomu, K., & Koshi, S.(2001). Stability of carthamin and safflor yellow b on silk powders under continuous irradiation of fluorescent or uv-c light. Lebensmittel-Wissenschaftund-Technologie. 34, 55-59 https://doi.org/10.1006/fstl.2000.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