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위변동 비탈면 녹화용 식물 선정을 위한 Iris속 4종의 침수기간에 따른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4 Iris Species by Flooding Periods for Revegetation Plants Selection in Water Level Changing Slopes

  • 박성학 (전북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 박종민 (전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 오현경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Park, Seong-Hak (Dept. of Forestry, Graduate School, Chonbuk Nat'l Univ.) ;
  • Park, Chong-Min (Faculty of Forest Science, Chonbuk Nat'l Univ.) ;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l Univ.)
  • 발행 : 2008.12.30

초록

댐호, 저수지, 하천 등 수위변동이 있는 비탈면의 녹화용 식물재료를 선발하기 위하여 내습성을 지닌 4종류의 Iris속 식물을 대상으로 완전침수와 부분침수 조건에서 침수기간별로 생존 및 생장특성 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생존율과 생장상태를 기준으로 한 내침수성은 노랑꽃창포 > 꽃창포 > 부채붓꽃 > 붓꽃의 순서로 나타났다. 특히, 노랑꽃창포는 120일까지의 완전침수 조건에서 생장장해를 입기는 하지만 생존율이 높았고 지속적으로 양호한 생장을 하였으며, 부분침수조건에서는 침수기간이 증가할수록 생장이 양호한 것으로 보아 내침수성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붓꽃, 부채붓꽃, 꽃창포는 완전침수조건에서 다소 많은 생장장해를 입으며 90일 이후에 고사되었으나, 내침수성이 비교적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위변동에 따라 생장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시험을 통해 댐호의 저수 비탈면과 각종 저수구역 내의 식생공사용으로서 노랑꽃창포, 꽃창포, 부채붓꽃, 붓꽃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utilizable plants for the slope revegetation in dams, lakes and streams. In this study, 4 Iris specie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surviv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 the complete and partly flooding condition with various flooding period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Iris pseudoacorus showed the highest flooding tolerance based on survival rate and growth condition. Iris ensata var. spotanea, I. setosa and I. nertschinskia followed after Iris pseudoacorus in the order of flooding tolerance. When I. pseudoacorus were completely submerged in the water, their growth was disturbed but they did not die up to 120 days. On the other hand, I. nertschinskia, I. setosa and I. ensata var. spotanea showed a significant growth disturbance in the complete water submergence and died in 90 days. This explained that they were relatively strong in flooding tolerance. They are considered to grow back to normal with some changes of water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석범, 이인복, 장한익, 박진면, 문두길(2008) 장기 침수가 포도 '캠벨얼리'와 거봉 품종의 생육과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지 27(2): 178-184 https://doi.org/10.5338/KJEA.2008.27.2.178
  2. 강호철, 주용규(1999) 자연습지의 구조적 특성과 갈대의 적정생육수심. 한국정원학회지 17(4): 191-200
  3. 고경식, 전의식(2003) 한국의 야생식물. 일진사, 서울, 799쪽
  4. 김귀곤, 조동길(1999) 인공습지 조성 후 생물다양성 증진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공고 생태연못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7(3): 1-17
  5. 김용규, 구본학, 안동만(2001) 인공섬 수생식물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4): 25-35
  6. 박종민(1992) 절개지 토양의 수분조건이 등나무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종민, 최건호(2001) 호소사면 녹화용 식물 선정을 위한 몇 가지 목본식물의 내침수성에 관한 연구. 한국복원녹화기술학회지 4(2): 45-51
  8. 박종민(2002) 호소사면 녹화용 식물선정을 위한 초본식물의 내침수성 비교.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2): 25-33
  9. 신승훈, 김민수, 김윤하(2004) 토양과 수위 및 차광의 차이가 창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2(5): 63-72
  10. 심우경, 백경종(2000) 하천 저수로 호안의 친환경적 조성기법의 개발 -용인시 수지읍 정평천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1):83-91
  11. 이은희, 장하경(2000) 생태연못 조성을 위한 이론적 고찰 및 사례연못 평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3(2): 10-23
  12. 전승훈(2008) 경기도 성남시 도시지역 습지의 유형 분포 및 습지식물의 특성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2): 159-172
  13. 정대영, 심상렬(1998) 호안자연식생 복원을 위한 갈대류 뗏장개발. 한국조경학회지 26(1): 28-35
  14. 정대영, 심상렬(1999) 갈대속 식물의 식생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2): 51-57
  15. 정대영, 심상렬(2000) 천연섬유를 이용한 식생복원용 갈대 및 억새 속 식물의 뗏장개발. 한국조경학회지 28(1): 54-61
  16. 최규창, 김남춘(1999) 자연형 하천 식생복원을 위한 달뿌리풀, 물억새, 솔새, 수크령의 녹화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2): 70-77
  17. 최정권(1995) 도시 하천환경의 생태적 재생 -하천의 미지형 형성과 정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2(4): 191-197
  18. Anderson, P.H. and Pezeshki. S.R.(1999) The effect of intermittent flooding on seedling of three forest species. Photosynthetica 37: 543-552 https://doi.org/10.1023/A:1007163206642
  19. De Witt, M.C.J.(1978) Morphology and function of roots and shoot growth of crop plant under oxygen deficiency. In: Hook, D.D. and R.M.M. Crawford(ed.), Plant Life in Anaerobic Environments, Ann Arbor Sci. press, Ann Arbor, MI, pp. 333-350
  20. Dickson, R.E. and T.C. Broyer.(1972) Effect of aeration, water supply and nitrogen source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tupelo gum and baldcypress. Eco. 53: 626-634 https://doi.org/10.2307/1934776
  21. Domingo, R., Perez-Pastor, A. and Ruiz-Sanchez, M.C.(2002) Physiological responses of apricot plant grafted on two different rootstocks to flooding conditions. J. Plant Physiol. 159:725-732 https://doi.org/10.1078/0176-1617-0670
  22. Jackson, M.B.(1979) Rapid injury to peas by soil waterlogging. J. Sci. Food Agri. 30: 143-152 https://doi.org/10.1002/jsfa.2740300208
  23. Kozlowski, T.T.(1982) Water supply and tree growth. II. Flooding.For. Abstr. 43: 145-161
  24. Kozlowski, T.T.(1984) Responses of woody plants to flooding. In T.T. Kozlowski(ed.), Flooding and Plant Growth, Academic Press, New York, pp. 129-163
  25. Kramer, P.J. and W.T. Jackson(1954) Causes of injury to flooded tobacco plant. Pl. Physiol. 29: 241-245 https://doi.org/10.1104/pp.29.3.241
  26. Mees, G.C. and P.E. Weatherley(1957) The mechanism of water absorption by roots. II. The role of hydrostatic pressure gradients. Proc. R. Soc. London Ser. B 147: 381-391 https://doi.org/10.1098/rspb.1957.0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