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strategy types and the recognition for proportional situations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 유형과 비례상황 인지와의 관계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strategy types and the recognition for proportional situations. The students' strategy types which were based on the results of ratio and proportion tests were divided into an additive type, a multiplicative type, and a formal type. This research analyzed the students' activities of categorization when were given the proportional problems and nonproportional problems to the students. And it also explored how to develop students' recognizing for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e proportional situations and nonproportional situations. The results was the following. First, the students didn't discriminate the proportional situations and the nonproportional situations in the initial state but they came to discriminate little by little. Secondly, the students didn't discriminate the direct proportions and the inverse proportions until the last stage. Third, the multiplicative type was outperformed more than the formal type in solving the ratio and proportion problems but the formal type was outperformed more than the multiplicative type in discriminating between proportional situations and nonproportional situations.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solving ratio and proportion tasks and recognizing proportional situations are different aspects of proportional reasoning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multiplicative strategy with formal strategy in recognizing proportional situ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 유형과 비례추론의 한 요소인 비례상황의 인지와의 관계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 유형은 비와 비례 과제를 실시한 결과를 근거로 가법적 유형, 승법적 유형 그리고 형식적 유형으로 나누었으며 세 차례의 면담 중 첫 번째와 세 번째에 비례상황인 것과 아닌 것을 구분하는 문제를 제시하였을 때 어떻게 분류하며 시간에 따라 어떻게 발달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유형의 학생들은 초기에 비례상황과 그렇지 않은 상황을 구분하지 못하였으나 점차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정비례상황과 반비례상황을 구분하지 못하는 보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승법적 유형의 학생들이 더 우수하였으나 비례상황과 아닌 것을 분류하는 문제에서는 비례식 알고리즘이라는 분명 한 기준을 가지고 있는 형식적 유형의 학생들이 더 우수하였다. 본 연구는 비와 비례 관계를 해결하는 것과 비례상황의 인지가 비례추론의 서로 다른 측면임을 제기하며 비례추론을 위해서는 승법적 전략과 함께 형식적 전략도 함께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