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 이미지 인식에 따른 캐주얼웨어의 한국적 이미지 선호

Preferences of Korean Image in Casual Wear Based on an Awareness of Korean Image

  • 황진숙 (건국대학교 디자인학부 의상디자인) ;
  • 김윤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 발행 : 2008.12.31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gment consumers by Korean image perception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mong the segmented groups in regard to Korean image preferences in casual wea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53 women consumers who lived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07. Statistical analyses used in the study were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Duncan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factors of Korean image perceptions: natural, feminine, passionate, and simple images. Based on the four factors, the consumers were segmented into three groups. They were natural image perception group, low interest group, and feminine image perception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egmented groups in regard to Korean image preferences In casual wear. For example, natural image perception group prefer diverse Korean prints, blue and green colors, natural fabrics, and diverse casual types for their Korean image casual wear. In the meanwhile, feminine image perception group generally prefer soft fabrics, red and purple colors in their Korean image casual wear.

키워드

참고문헌

  1. 오현정, 오선희, 이귀례 (2003). 문인화를 이용한 한국 적 이미지의 문화상품용 의상디자인 개발. 복식, 53(5), pp. 13-22
  2. 한국패션브랜드연감 (2006). 어패럴뉴스사
  3. 김영자 (1992). 한국의 복식미. 서울: 민음사, pp. 25- 26
  4. 김민자 (2001). 현대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한국적 이미 지의 계승과 발전방안. 한국복식문화 2000년 세미나. 주최: 문화관광부, SBS, 주관: 한국복식문화 2000년 조 직위원회
  5. 조지훈 (1964). 한국인과 문학사상-멋 연구. 서울: 일조각
  6. 김영자. (1992). 한국의 복식미. 서울: 민음사, p. 302
  7. 금기숙 (1990). 한국 복식미의 탐구. 복식, 14, pp. 167- 183
  8. 김원룡 (1990). 한국미의 탐구. 서울: 열화당
  9. 김윤희 (1997). 한국복식의 미적가치에 대한 고찰. 한국의류학회지, 21(5), pp. 946-955
  10. 최경희, 엄준희, 김민자 (2003). 한국적 이미지의 경기 용 수영복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II)-오방색과 태 극문을 중심으로-. 복식, 53(4), pp. 49-69
  11. 하용득 (1989). 한국의 전통색과 색채심리. 서울: 명지 출판사, p. 14
  12. 김영자. (1992). 한국의 복식미. 서울: 민음사, pp. 54-59
  13. 김희정, 이경희 (1997). 한국적 의복이미지의 구성요인 과 디자인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21(3), pp. 589-599
  14. 이경희 (1997). 한국적 의복이미지와 디자인과의 관계 -한국과 미국의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1(2), pp. 302-313
  15. 장수경 (1998). 한국 전통문양의 이미지 형상화 소고. 한국의류학회지, 22(8), pp. 1001-1010
  16. 강희경 (1998). 한국적 의상디자인에 표현된 자연주의 에 관한 연구. 복식, 38, pp. 213-231
  17. 금기숙 (1992). 한국 전통 복식미의 현대적 활용. 복식, 19, pp. 29-40
  18. 금기숙 (1999). 패션 디자인을 위한 전통복식의 활용 현황에 관한 연구. 복식, 48, pp. 69-82
  19. 김인경 (1998). 파리컬렉션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디자 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38, pp. 233-244
  20. 김찬주, 장인우 (1999). 한국현대 패션에서의 한국적 디자인 전개과정 분석과 세계화를 위한 제안. 복식, 48, pp. 5-24
  21. 오현정, 오선희 (2002). 브레인스토밍 기법에 의한 한 국적 의복이미지 유형. 복식, 52(6), pp. 41-50
  22. 복식대사전 (1995). 도서출판 라사라
  23. 'Casualizing의 급속화' 캐주얼브랜드의 생존전략 (2006. 8.). Fashion channel, pp. 63-71
  24. 캐주얼 '가치 업그레이드'에 총력(2006. 12. 11). 패션 인사이트, 자료검색일 2006. 12. 28, 자료출처 http:// www.fi.co.kr
  25. 문수란 (2006). 한국적 이미지의 심미성 요소에 관한 연구-전통문양을 대상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산업디 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