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해지에서 크리핑벤트그래스 10개 품종의 생육 비교

Growth Evaluation of 10 Cultivars of Creeping Bentgrass in Salt Affected Environment

  • 김준범 (상명대학교 환경자원학과) ;
  • 양근모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 최준수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Kim, Jun-Beo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cience, Sangmyung Univ.) ;
  • Yang, Geun-Mo (Department of Green Landscape Architecture Science, Dankook Univ.) ;
  • Choi, Joon-Soo (Department of Green Landscape Architecture Science, Dankook Univ.)
  • 발행 : 2008.12.31

초록

본 연구는 해안가 매립지인 간척지에서 염분이 포함된 물을 관수하면서 크리핑 벤트그래스 품종을 평가해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국내에서 수입되고 있는 크리핑 벤트그래스 10종을 공시하여 간척지에 다층구조의 그린을 조성 후 생육을 평가하였다. 사용된 관수용수의 전기전도도(ECw)는 $0.28-3.3\;d\;S{\cdot}m^{-1}$의 범위였다. 관행적인 관리하에서 잔디의 엽색, 품질, 피복률, 밀도, 생육량 등을 조사하였다. 엽색은 진녹색, 녹색, 연녹색 등의 색상으로 나타났으며, T-1, Pennlinks, Crenshaw 등이 진한 녹색을 띠었으며, Penn A1, declaration 품종이 연한 녹색을 띄었다. 가시적 품질은 조사시기에 따라 편차가 있었으며, 평균적으로 Penn A1, Penn A3, L-93 등이 높은 품질을 보였다. 파종 11주 후 피복률 조사시 평균 75.3%의 피복률을 나타냈으며, Dominant, L-93, Penn A1 등이 각각 80, 80, 78.3%로 높게 조사되었다. 조성 1년차에는 가시적 밀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2년차부터는 품종간에 밀도 차이가 관찰되었다. 조성 2년 후 조사시 밀도가 높은 초종은 Declaration, Penn A1, T-1, L-93 순으로 나타났다. 상기 조사결과 크리핑 벤트그래스는 염이 포함된 관수용수 하에서도 양호한 생육을 보였으며, 품종간에 품질 및 밀도 등에서 차이를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자료는 간척지에 건설되고 있는 골프장에서 크리핑 벤트그래스 품종을 선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growth performance of 10 cultivars of creeping bentgrass under salt injury in Seo-san reclaimed area. Turfgrass performance studies included 10 creeping bentgrass cultivars (T-1, L-93, Penn A1, Pennlinks II, Seaside II, Declaration, Penn A4, Crenshaw, Dominant, and Penncross). Ten creeping bentgrass cultivars were grown on a USGA recommended research green. Plots were seeded on May 31, 2006 at the rate of $7\;g{\cdot}m^{-1}$. Electric conductivities of irrigation water (ECw) and soil (ECe) were ranged from 0.28 to $3.3\;d\;S{\cdot}m^{-1}$ and from 0.25 to $3.5\;d\;S{\cdot}m^{-1}$ respectively. Leaf color, turf quality, coverage rate, and growth rate were checked under the salty condition in reclaimed land for 2 year. Creeping bentgrass cultivars of T-1, Penn links, and Crenshaw presented dark green color and Penn A1, Declaration showed lighter green color. Penn A1, Penn A4 and L-93 exhibited the highest overall turfgrass quality. Average visual coverage was 75.3% after eleven weeks after seeding. Dominant, L-93, and Penn A1 resulted in higher visual coverage compared to the other cultivars.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nsity among cultivars at 1 year after establishment. However, Declaration, Penn A1, T-1, and L-93 showed higher density compared to the other cultivars at 2 years after seeding. Creeping bentgrass showed different quality, density and color in salty soil (ECe: $0.25-3.5\;d\;S{\cdot}m^{-1}$) and from application of salty irrigation water (ECw: $0.28-3.3\;d\;S{\cdot}m^{-1}$) conditions.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where selecting green cultivars for the golf courses in reclaimed land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현인. 2006. 크리핑 벤트그래스 7품종의 생육특성.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 이상재. 2000. 한국의 골프장 그린의 특성 및 그린 스피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이상재, 허근영. 1999. 한국의 골프 코스 그린의 설계 및 시공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잔디학회지. 13(4):181-190
  4. 이형성, 홍범석, 김경덕, 태현숙. 2007. 봄철 크리핑 벤트그래스 품종별 특성비교. 한국잔디학회지 21(2):155-162
  5. 한국잔디연구소. 2008. 회원사별 잔디종류. www.ktri.co.kr
  6. Beard, J.B. 1973. Turfgrass: science and culture. Prentice-Hall, Inc
  7. Carrow, R.N. and R.R. Duncan. 1998. Salt-affected turfgrass sites. John Wiley & Sons, Inc. p. 96
  8. Dernoeden, P.H. 2002. Creeping bentgrass management. John Wiley & Sons, Inc., New Jersey. p. 8
  9. Engelke, M.C., V.G. Lehman, W.R. Kneebone, P.F. Colbaugh, J.A. Reinert, and W.E. Knoop . 1995. Registration of 'Crenshaw' creeping bentgrass. Crop Sci. 35(2): 590
  10. NTEP. 2008. National Turfgrass Evaluation Program. www.ntep.org
  11. Turfgrass Producers International Turf News(Jul/Aug 1998) pp. 31-32
  12. USGA Green Section Stuff. 1993. USGA recommendation for a method of putting green construction. USGA Green Section Record March/April:1-3
  13. Turgeon, A.J. 1991. Turfgrass management. 3rd ed. Prentic-Hall, Inc
  14. Waddington, D.V., R.N. Carrow, and R.C. Shearman. 1992. Turfgrass.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Inc., p.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