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imization Method of Data Collection Delay Time for Bus Information System

버스정보 수집지연시간 최소화 방안 연구

  • 임승국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영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하태준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종철 (광운대학교 전파공학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delay time generated in bus information system is analysed and improvement on system reliability by minimizing the delay time is suggested. To minimize the data collection delay time (call setup time), factors on data collection phase are analyzed. Each connecting time that it occurs from wireless communication during data collection phase, is selected as a main effective variable and a model for selecting an optimum communication point to minimize the effect of data delay time by each connecting time is suggested. In this model, minimization of the point between the time carrying out wireless communication and vehicle moving time, is calculat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bus arrival time and information delivered time to the passenger is reduced. The test results for the proposed model in BIS using a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how that delay time in real system operation has been improved. The minimum data collection delay time based on optimal communication position leads to the better reliability for Bus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selection of optimal communication position and detection position instead of empirical methods.

본 연구에서는 버스정보시스템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단계별 정보지연시간을 분석하고, 실제 버스정보시스템 운영시 지연시간을 최소화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버스정보시스템의 정보지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정보수집단계에서 발생하는 지연시간 발생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버스정보 수집단계 무선통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호 연결시간을 주요 영향변수로 선정하고, 호 연결시간이 정보지연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최적 통신지점(검지지점) 선정에 대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모형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차량이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의 차이가 최소화되는 지점을 산출하여 실제 버스가 정류소에 도착하는 시간과 정보가 제공되는 시간을 평균적으로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CDMA통신을 이용한 버스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모형을 평가한 결과 제안된 모형식은 정보수집 지연시간을 적절히 산출할 수 있었으며, 산출된 지연시간을 고려하여 최적의 통신지점을 선정함으로써 지연시간을 최소화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그동안 경험적으로만 설정하던 버스정보시스템의 최적 통신지점(검지 지점) 결정에 대한 문제에 대한 해법을 명확히 제시한데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