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pace Graphic applied to the Brand Identity(BI) In Commercial Space - Focused on Louis Vuitton and Chanel -

상업공간의 브랜드 아이덴티티(BI)를 응용한 공간 그래픽에 관한 연구 - 루이비통과 샤넬 브랜드를 중심으로 -

  • 정희은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과) ;
  • 김영훈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과) ;
  • 주혜라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It wouldn't be exaggerating to say that we're living in a "Brand age" these days. Brand is easily spotted anywhere around our surroundings, influencing us in a material and a moral way. BI(Brand Identity) which brings increase on sales by constructing and improving the brand image, are infect visually compressed Identity designs that will give the interior space that have applied it, superiority in building a unified image. Then, graphic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ressing Identity designs visually. These days, interior space graphic is an emotional field that can materialize images, which became an important expressing medium that offers various images and creativity and show interior space's brand identity. In this manner, space graphic that applies identity designs, clearly states brand's intentions on space communication and users by designing company images or brand's emotional factors visually and dimensionally. Also, it escapes plane level, and gives space, dimensional and kinetic elements, which can give differentiation with other brand's space. These kinds of flexibility let space graphic be used efficiently in extending space identity.

Keywords

References

  1. 김주현, 파사드 서피스의 실험, plus 2006.11
  2. 김소연, 파상곡선에 의한 모아레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3. 김은혜, 인지정보체계의 Space Graphysm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4. 김정란, 소비자 지향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5. 김영국,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환경 디자인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6. 김문덕.이미희, 현대 상업공간의 실내에 나타난 그래픽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6
  7. 노정호, 인테리어구성재, 국제, 1989
  8. 데이비드 A. 아커, 이상민 역, 데이비드 아커의 브랜드 경영, 비즈니스 북스, 2002
  9. 로버트 제이콥슨, 장동훈.김미정 옮김, 정보디자인, 안그라픽스, 2002
  10. 박상미, 공간의 상호관계 형성 요소로서의 표피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1. 박지숙, 공간 체험 분석에 기초한 디지털 미디어 전시 공간계획안,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2. 박대순, 현대 디자인 용어사전, 디자인 오피스, 1993
  13. 박선의,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미진사, 1989
  14. 박유미.이찬, 프로이트의 무의식 관점으로 본 공간 속 오브제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8
  15. 손일권, 브랜드 아이덴티티, 경영정신, 2003
  16. 이상헌, 철 건축과 근대건축이론의발전, 발언, 2002
  17. 오인욱, 실내디자인학, 기문당, 2002
  18. E.Lucia Smith, Art Oggi, 미술세계편집부 번역, 1986
  19. 전수영, 브랜드개성강화를 위한 공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획득되는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4
  20. 정재완, 거리글자가 획득한 새로운 구술성,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1. 최용수, 브랜드이미지와 재료의 표현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5
  22. 필립.B.맥스, 그래픽디자인의 역사, 미진사, 1985
  23. http://www.petermarinoarchitect.co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