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ion of Rice Cultivars Adaptable to Top Rice Cultivation Region in Southern Part of Korea

남부지방 탑라이스 재배지역에 알맞은 벼 품종 선발

  • An, Deok-Jong (Gyeongbuk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 Won, Jong-Gun (Gyeongbuk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 Kim, Se-Jong (Gyeongbuk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 Choi, Chung-Don (Gyeongbuk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 Lee, Sang-Chul (Division of Plant Bio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안덕종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 원종건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 김세종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 최충돈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 이상철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부)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rice cultivar adaptable to Top Rice cultivation region from 2006 to 2007 in Useong and Kyeongju, Korea. Four cultivars, recommended for high rice grain quality, were cultivated in the different region in this study. The average yield of head rice was higher in Samguangbyeo than the other three cultivars. The protein content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palatability (Toyo value). The protein content of Samguangbyeo was 6.2%, which was the lowest among the tested cultivars. L values in color of rice and cooked ri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hardness of Samguangbyeo wa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cultivars in texture properties of boiled rice on 4 cultivars. In conclusion,considering the rice yield and grain qualities, Samguangbyeo was selected as promising rice cultivar for Top Rice cultivation region.

2006년도 고품질 쌀로 선정된 고품벼, 운광벼, 삼광벼를 기존의 일품벼와 대비하여 의성과 경주의 탑라이스 재배지역에서 2년간 적응시험을 하여 각 품종들의 품질과 미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0a당 수량은 의성, 경주 모두 일품벼가 586 kg, 560 kg으로 가장 많은 수량을 보였으나, 완전미 수량은 삼광벼가 의성과 경주에서 각각 519 kg, 495 kg으로 일품벼보다 더 높은 수량을 보였다. 2. 쌀의 외형상 품위에서 완전립 비율은 삼광벼, 고품벼가 90.7%, 82.5%로 일품벼의 77.5%보다 높았다. 3. 단백질 함량은 삼광벼가 6.2%로 가장 낮았으며, 식미치에서는 삼광벼가 85.9%로 가장 높았다. 4. 쌀가루의 점도 특성에서 최고 점도는 의성의 운광벼가 3180으로 가장 높았으며, 경주의 일품벼가 2255로 가장 낮았다. 5. 밥의 물리적 특성에서 경도는 삼광벼가 평균 3174로 가장 낮았으나, 부착성이 -132로 높게 나왔다.

Keywords

References

  1. Choi, Y. H., K. H. Kim, H. C. Choi, H. G. Hwang, Y. G. Kim, K. J. Kim, and Y. T. Lee. 2006. Analysis of grain quality properties in Korea-bred Japonica rice cultivars. Korean J. Crop Sci. 51(7) : 624-631
  2. Kim. K. C. 1983. Studies on the effect of temperature during the reduction division and the grain filling stage in rice plants. II. Effect of air temperature at the grain filling stage in Indica-Japonica crosses. Korean J. Crop Sci. 28(1) : 58-75
  3. Kwak, Y. M., C. E. Kim, J. K. Sohn, and M. Y. Kang. 2006. Grain quality of commercial brand rice produced in Kyungpook Province. Korean J. Crop Sci. 51(7) : 645-651
  4. Lee, C. H., S. G. Kim, and J. C. Chae. 1983. 미질검정 방법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 Res. Reports RDA. pp. 83-94
  5. 許文會, 朴淳直. 1976. 쌀 胚乳의 Amylose 含量에 미치는 Wx 因子의 Dosage 効果 I. Base Color의 Isogenic을 利用한 交配種子의 amylose 含量. 韓作誌. 8(1) : 48-54
  6. 김길한. 2000. 쌀 가공식품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동아시아 식생활학회지 춘계학술회지 초록집. pp. 27-50
  7. 權容雄, 李殷雄, 李拚雨. 1990. 고품질 쌀의 산지와 경종기술에 관한 연구 : 이천과 타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農試論文(농업산학협동편) 33 : 291-303
  8. 농촌진흥청. 1995. 농사시험연구 조사기준
  9. 농촌진흥청. 2007. 개방화.소비자시대의 쌀 산업 발전방향. 심포지엄 pp. 81-99
  10. 양승모. 2000. 쌀의 고고학적 고찰. 동아시아 식생활학회지 춘계학술회지 초록집. pp. 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