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공도서관 공간운영을 위한 기준 도출에 관한 연구

Constituents Analysis of Guidelines for Public Library Space

  • 발행 : 2008.12.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이 공간운영을 계획할 때 참조할 수 있는 기준과 권장사항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도서관이 새로운 공간계획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IFLA의 도서관 공간산출법, 호주의 NSW 도서관의회에서 제공하는 공공도서관 공간운영기준 그리고 프랑스의 대학도서관을 위한 공간운영 권장사항을 조사 분석하였다.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공공도서관을 위한 공간운영권 장기준(안)을 제시하였다. 권장기준(안)은 공공도서관의 영역을 장서공간, 이용자공간, 사무공간, 문화공간, 지원공간 그리고 선택적 공간으로 구분하였으며, 구분된 각 개별 공간이 전체 도서관건물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장서공간을 기준으로 영역별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기준을 적용함에 있어 개별 도서관의 건물사정과 제공하는 서비스가 도서관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분위기와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o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designing library space and it also reflects on developmen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when planning new library space. The methodology of estimating library space needs of IFLA, a guide for public library building in New South Wales of Australia, and the recommendations for academic libraries in French were analysed. The results given throughout theses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are able to develop the guide for public library space in Korea. The guide suggested defines six broad types of library space; collection area, readers and library users, library staff, conference, meeting and cultural space, mechanical and support services, additional services areas. It is import to remember however that each library building and the service it provides is unique and should reflect the needs and aspiration of its commun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철완. 2005.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149-167
  2. 곽철완.이정미. 2005. 어린이도서관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어린이 부모의 의식조사..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4):155-176
  3. 국립중앙도서관. 2007..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 및 표준모델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이발
  4. 김선애. 2006. 공도서관 서비스 고객만족도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3): 193-208
  5. 김정희. 2007..사회적 패러다임에 따른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건축계획전공
  6. 植松貞夫 著. 2005..도서관건축의 이해.. 김효숙 옮김. 서울: 한국디지털포럼
  7. 양성원.김억. 2004. 상대주의 공간개념을 적용한 공공도서관에 관한 연구: 고도정보화사회에서의 커뮤니티시설로서의공공도서관 중심으로..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4(2): 283-286
  8. 오동근. 2005.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정보관리학회지., 22(4): 61-78
  9. 은경원. 2007..공공도서관의 복합화경향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도서관의 다원적 기능과 공간의 적응..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건축계획전공
  10. 이경훈. 2003..건축물 성격변화를 통해 본 현대도서관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11. 이인영. 2004. .공공도서관의 문화,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2. 이정미, 곽철완. 2005. 어린이도서관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어린이의 연령 단계별공간이용 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4): 177-198
  13. 정강훈, 노태학, 최일. 2006. 사회적 기능과 역할변화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6(1): 333-336
  14. 차미경. 2006. 유비쿼터스 시대 도서관 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325-343
  15. 한국도서관협회. 1991. .공공도서관 표준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6. 한국문헌정보학회. 1996..21세기 공공도서관 발전방향 및 모델개발연구.. 서울: 한국문헌정보학회
  17. Bisbrouck, Marie-Francoise 2007. The Notion of 'Standard Surface Area' and Construction of French Libraries. (in IFLA Library Building Guidelines: Developments & Reflections, edited on behalf of IFLA by Karen Latimer and Hellen Niegaard) Munchen: K.G. Saur
  18. Dahlgren, Anders 2007. A Practical Means of Estimating Library Space Need. (in IFLA Library Building Guidelines: Developments & Reflections, edited on behalf of IFLA by Karen Latimer and Hellen Niegaard) Munchen: K. G. Saur
  19. Dewe, Michael. 2006. Planning Public Library Buildings: Concepts and Issues for the Librarian. Aldershot: Ashgate Pub
  20. Gill, Philip. 2003. .공공도서관 서비스 개발을 위한 IFLA/UNESCO 가이드라인.. 장혜란 역.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1. Latimer, Karen & Niegaard, Hellen. 2007. IFLA Library Building Guidelines: Developments & Reflections. Munchen: K. G. Saur
  22. Library Council of New South Wales. 2005. People Places: A Guide for Public Library Buildings in New South Wales. Sydney: Library Council of New South Wales
  23. McCabe, Gerard B, Kennedy, James R. 2003. Planning the Modern Public Library
  24. Building. Westport: Libraries Unlimited. Mitchell, William J. 1999. .비트의 도시.. 이희재 역. 서울: 김영사
  25. Zurko, Edward Robert. 1997..기능주의 이론의 계보.. 윤재희, 지연순 역. 서울: 세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