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Route Analysis of Dangerous Road for Traffic Accident using GIS

GIS를 이용한 사고 위험도로의 설계노선 분석

  • 이계동 (충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정성혁 (충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이재기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Recently, the government has improvement projects of dangerous road for the site that has very high accident rate due to bad geometric structures of the road. Although, route selecting of the road is a basic and important process, but the process of route selecting must consider the technical, safety and environment factor together. Also, the technology for the 3-dimensional terrain model can be used as an important factor in planning and designing for selecting alternative route projects. In the course of experimenting with the 3-dimensional topography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digital map and drawing of route, the technology as been developed to offer the multi-dimensional access to the potential construction sites from the nearby main roads. This 3-dimensional digital elevation model has made it possible to make various terrain analysis base on GIS, which provides real-time virtual access to the designated construction sites for development planning and construction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reasonable plan for route selecting from some alternative routes through subjective evaluation and classify the methods linked basic design of road construction.

최근 정부에서는 도로의 기하구조 불량으로 인해 사고 발생률이 높은 대상지에 대해 위험도로개선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비록, 도로의 노선을 선택하는 것이 기본적이고 중요한 과정이지만 노선 선정의 과정은 기술적, 안전적, 환경적인 요소들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또한, 3차원 지형모델 기술은 대체 노선선정에 대한 설계와 계획에서 중요한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수치지도와 노선도의 조합에 의해 생성된 3차원 지형도를 조합한 실험의 경우, 주요 간선 도로 건설현장에서 다차원적인 접근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3차원 수치표고 모형은 개발계획과 시공계획에 대해 설계 시공 현장에서 실시간 가상 접근을 제공하는 GIS기반으로 다양한 지표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도에 GPS측량과 토털스테이션(Total Station)측량을 이용하여 취득한 현황 측량 정보를 결합하여 노선 선정에 따른 3차원 공간 정보를 비교 검토하고 토공량 산정시 보다 정확한 양을 산정하여 도로선형개선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주관적인 평가를 통하여 대체 노선에서 노선선정에 대한 합리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호진, 진명섭, 김종열 (2007), 최신 도로공학, 기문당, pp. 103- 122
  2. 김영표 (1998), GIS의 기초와 실제, 국토개발연구원, pp. 29-37
  3. 최기주, 서본양 (2001), GIS기반의 도로계획 및 도선선정 방안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1권 제6-D호, pp. 824-828
  4. Veras, J. H. (1995), Comparative Assessment of AHP and MAV in Highway Planning : Case Study,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21, No. 2
  5. Raper, J. (1989), Three Dimensional Application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aylor & Francis, pp. 16-54
  6. Fitzpatrick, K. (2000), Evaluation of Design Consistency Methods for Two-lane Rural Highways, Executive Summary, FHWARD-99-173
  7. Hollingshead, M. (1994), Elling the Highway and Byways, GIST(94), AASHO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