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테인먼트에서의 캐릭터 중심 기호학적 생성구조 연구 -어린이 대상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를 중심으로-

A Semiotic Study on Storytelling Structure in Edutatinment -The Educational Animation For Kids, -

  • 송미선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 발행 : 2008.12.31

초록

90년대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대성공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했던 애니메이션 시청 대상의 세분화는 에듀테인먼트의 가능성을 여는 시발점이 된다. 특히 미취학 아동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애니메이션의 등장은 국내에서 순수 제작된 애니메이션이 국내에서의 성공은 물론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에듀테인먼트 콘텐츠가 되는 쾌거를 얻게 되었다. 본고는 어린이 대상 애니메이션이자 에듀테인먼트인 <뽀롱뽀롱 뽀로로>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캐릭터 중심 스토리텔링에 대한 개념과 행위소 모델을 통해 스토리텔링 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해외의 유사 콘텐츠로 <토마스와 친구들>을 부연 설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 특성을 도출하고, 스토리텔링 생성에 나타난 기호학적 구조를 연구 하였다. 어린이 대상 콘텐츠에 대한 스토리텔링 생성구조에 대한 본고의 연구는 향후 에듀테인먼트 관점에서의 스토리텔링 연구의 가능성을 여는 기반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Since the great success of the Disney animations like , the classification of audience target in animation according to an age group started a possibility of edutainment in the industry. Especially, a few animations for preschool children made by Korea have been largely successful in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The study analyzed a distinguished structure of a story stressed by character by Greimas's theories in the educational animation. The animation for kids as this study target is one of successful contents in edutainment. It also analyzed as one of parallel contents in abroad. It is a meaningful study which considers a story structure of the animation as aspects of edutainment contents for preschool childre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