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the Improvement of Brain Function & Baduk Strength for Child Baduk Players

바둑 학습 아동들의 뇌 기능과 기력 향상에 뉴로피드백 훈련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백기자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
  • 이선규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정보경영학과) ;
  • 정수현 (명지대학교 바둑학과)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made to research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the Brain Quotient and baduk strength whose EEC data were obtained both before and after the neurofeedback training from 15th June, to 15th September in 2007. Brain waves were measured on the frontal lobes of subjects (30 baduk players - the experimental group 15 under neuroffedback training and the control group 15 subjects) and analyzed by calculating eight brain quotients characterizing behaviors of EEG rhythms eff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s the higher indexes Attention Quotient(left) p=.041, (right)p=.007, Stress Quotient (left) p=.020, and Stress Quotient (right) p=.019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research data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ve the higher average than the control group in Baduk strength examination p=.021 after the neuroffedback training. As the brain waves are adjusted by timeseries linear analysis, the brain function quotients can reflect the functional states of the brain.

이 연구는 바둑 학습 아동들의 뇌 기능과 기력 향상에 뉴로피드백 훈련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바둑학원 원생 30명(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을 대상으로 2007년 6월 15일부터 2007년 9월 15일 까지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뉴로피드백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이 주의 지수(좌)(p=.041), (우)(p=.007), 항스트레스 지수(좌)(p=.020), (우)(p=.019)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기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력 단계 별로 표준화되어 있는 기력 측정 문항지를 훈련 전과 훈련 후에 풀게 한 후 채점의 결과를 t-검증하였다. 뉴로피드백 훈련 전 조사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분석 결과 평균의 차이가 (p=.728)로 두 집단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뉴로피드백 훈련 후 조사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의 차이가 (p=.021)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뉴로피드백 훈련 후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기력이 향상되었다고 해석 할 수 있겠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수현(1997), 반상의 파노라마. 서울: 시와 사회.
  2. 김진구(2001), “뇌파자기조절 바이오피드백을 통한 운동 학습과 EEG변화”, 한국스포츠 심리학회 12(1), pp. 1-13.
  3. 정청희, 홍길동, 황 진(2004), “뇌파 바이오피드백 기기를 활용한 집중력 훈련이 양궁 경기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 스포츠 심리학회지 15, pp.37-51.
  4. 김재훈(2002), “뇌파 조절을 통한 집중력과 심상이 골프퍼팅 수행 학습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5. 김동구, 박형배, 안영우(2005), “Neueodeedback 원리와 임상응용스트레스연구“, 13(2) ,pp. 93-98.
  6. 김대식, 최창옥(2001), 뇌파검사학 서울: 고려의학.
  7. 박병운(2005), 뉴로피드백 입문, (재)한국정신과학 연구소.
  8. 김진환(2002), “기력별 기력구성 요인의 특성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9. 김용진(2000), “학습활동의 뇌파분석에 기초한 두뇌순환 학습 모형의 개발과 과학학습의 적용”,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0. Lubar,J.O.,Lubar, J.F.(1984), “Electroencephalographic Biofeedback of SMR and Beta for Treatment of Atten tion Deficit Disorders in a Clinical Setting,” Biofeedback & Self Regulation, Vol. 9, pp. 1-23. https://doi.org/10.1007/BF00998842
  11. Peniston, E. G.(1992), Alpha-theta EEG biofeedback training inalcoholism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or.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subtle energies and energymedicines. 2. pp.5-7.
  12. Rosenfeld, J. P.(1998), “Frontal EEG Alpha Asymmettry,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ing,” Cognition and Emotion, Vol. 12, pp. 449-478. https://doi.org/10.1080/026999398379673
  13. 김바로미(2004), “아동바둑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의식조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14. 최일호(2005), “Study on brain activation in Baduk problem solving: function MRI study”, 한국 바둑학회지, 국제바둑학 학술대회, Vol. 3. pp. 25-34.
  15. 조선희(2005) 외, “뇌기능영상 측정법을 이용한 영재성 평가의 타당성 연구”, 영재 교육연구. Vol 15. No 2,pp. 101-125,
  16. 김유미, 안창규(2004),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성격 특성성의 차이 분석 영재교육 연구”, Vol 14. No 2, pp. 73-97.
  17. 이영희(2002), “신경(두뇌) 피드백에 기초한 주의력 개선”, 한국지체 부자유아 교육학회, 40, pp. 197-212.
  18. 윤미경(2006), “기혈 파동 두피 마사지가 중년여성의 심리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19. 임성은(2007), “족욕이 성인여성의 stress 및 인체변화에 미치는 변화”, 석사학위논문 서경대학교 대학원.
  20. 백기자(2007), “뇌파측정을 통한 비만인의 뇌기능 분석과 연령별 뇌 기능 차이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제13권 제2호. vol.13 pp.77-86.
  21. 백기자, 이선규, 정수현(2008), “BCI을 이용한 바둑 전문인의 뇌 기능 특성 분석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지, Vol. 9(3). pp. 695-701.

Cited by

  1. The Review for Studies of Neurofeedback Training vol.25, pp.3, 2014, https://doi.org/10.7231/jon.2014.25.3.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