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제주 대정 마늘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대정 지역별 마늘과 도외지역 및 중국산 마늘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알리신 함량은 단양 마늘이 457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의성(422), 태안(393)과 중국(370), 제주(334)와 남해(328) 마늘 순이었다. 총페놀 함량은 태안 마늘이 3.77 mg GAE/g로 가장 높았고, 남해 마늘이 1.90 mg GAE/g로 가장 낮았다. 제주 대정 마늘의 평균 총페놀 함량은 3.36 mg GAE/g로 전국 주요산지 마늘의 평균 2.87 mg GAE/g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용성 항산화 능력은 단양($2.88{\mu}mol$ ascorbic acid equivalents/g of dry extract)과 제주 대정산(평균 2.73)이 가장 높았고, 남해(1.94)와 태안산(1.67)이 가장 낮았다. 지용성 항산화 능력은 남해($5.77{\mu}mol$ trolox equivalents/g of dry extract), 단양(5.31), 제주 대정산(평균 5.29)이 가장 높았고, 태안산(4.19)이 가장 낮았다. 특히 중국산과 남해산은 지용성 항산화 능력이 각각 6.25와 $5.77{\mu}mol/g$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여 수용성 항산화 능력이 가장 낮은 것과는 대조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지용성 항산화 능력은 수용성 항산화 능력에 비하여 2배 이상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통풍저해 활성은 제주 대정 마늘(평균 31.1%)이 전국 주요산지 마늘(평균 23.2%) 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지별 마늘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검정 균주 중에 S. aureus에 대하여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 E. coli 순이었으며, 제주 대정 특히 알뜨르 마늘은 4가지 균주 모두에 대하여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garlic extracts from eight different cultivating areas (three areas from Daejeong Jeju, four major cultivating areas (Danyang, Uiseong, Taean and Namhae) in Korea, and one imported from China) were investigated. Allicin was the highest in the garlic from Danyang (457 mg/100 g), and in the decreasing order of Uiseong (422), Taean (393), China (370), Jeju (334), Namhae (328). Total phenolic content (TPC) from Taean was the highest (3.77 mg GAE/g), while that from Namhae was the lowest (1.90). Average TPC (3.36 mg GAE/g) of the garlics from Daejeong Jeju was higher than that (2.87) from major cultivating areas in Korea. The highest 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ies of water-soluble substance were obtained from the garlics of Danyang ($3.24{\mu}mol$ ascorbic acid equivalents/g) and Daejeong Jeju (2.73), while the lowest ones were from Namhae (1.94) and Taean (1.67). The 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ies of lipid- soluble substance were the highest in the garlics from Namhae ($5.77{\mu}mol$ trolox equivalents/g of dry extract), Danyang (5.31) and Daejeong Jeju (5.29), while the lowest was from Taean (4.19). Average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ctivity (31.1%) in the garlics from Daejeong Jeju was higher than that (23.2%) from major cultivating areas in Korea. All of the garlics showed the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and in the decreasing order of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 and E. coli. The garlics from Daejeong Jeju (specially from Alttre)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all four bacterial strains t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