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Ethics and 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Majoring Health Care and Effect Analysis

보건의료 직업윤리 및 서비스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분석

  • Published : 2008.10.28

Abstract

This study is planned and designed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majoring health care in order to improve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of ethics and service. First, this study examine the educational needs of 505 students majoring health care and 175 field workers through literature reviews, survey of questionnaire, and opinions of experts. And then, the educational goals, contents, methods are selected and established in this study. Lastly, the effects of the ethics and service education program shown by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are examined. In the effect analyses, we can see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average variation of knowledge level in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and also find that average scores after education was higher than before education in the field of intrinsic, social, and altruistic compensations. We can conclude that the developed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has an effect on increasing a standard of value of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본 연구는 보건의료계열 학생을 중심으로 '보건의료인을 위한 직업윤리 교육' 중 주로 '보건의료현장에서의 서비스'에 역점을 두어 학생이 보건의료현장에 취업하여 직업내 동료 및 의료소비자를 대함에 있어서 도움이 될 지식 및 태도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 설계하고 설계된 프로그램을 실행 평가하는 일련의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거쳤다. 잠재적 교육 수요자 505명과 현장 전문가 175명을 대상으로 교육내용과 방법에 대한 수요조사를 하였고, 교육 목표 및 내용 방법을 선정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보건의료계열 서비스 및 직업윤리교육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식에서 교육전에 비해 교육 후의 정답률이 통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교육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에서는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에 내적보상과 이타적 사회적 보상영역에서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아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이 보건계열 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태도 중 리더십, 도전의식, 사회봉사 등에 대한 태도 수준을 높이는데 교육적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eval.kcue.or.kr
  2. 양희선, "인간다운 삶을 위해 지켜져야 할 것들-교육․의료분야 한미 FTA 협상", 노동사회, 제6권, pp.70-80, 2006.
  3. 김진화,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교육과학사, 2003.
  4. S. G. Daniel, "A Medical Student Honor Code,"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Vol.17 No.2, pp.417-428, 1999. https://doi.org/10.1016/S0733-8627(05)70068-7
  5. B. M. Laurence, "Chapter 2: The Ethical Concept of Medicine as a Profession: Its Origins in Modern Medical Ethics and Implications for Physicians," Advances in Bioethics, Vol.10, pp.17-27, 2006. https://doi.org/10.1016/S1479-3709(06)10002-3
  6. D. Cheryl, M. N. Paula, M. Katherine, Curci, J. O. Ballard, and D. G. Kirch, "The Humanities Interface of Nursing and Medicine,"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23 No.3, pp.174-179, 2007. https://doi.org/10.1016/j.profnurs.2007.01.006
  7. 정두희, 창의적인 인성교육 프로그램, 학지사, 1998.
  8. 박경미, "현대사회의 직업윤리교육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9. D. Kirkpatrick,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San Francisco, Gerrett-Koehler, 1994.
  10. 김정숙, "학생의 직업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17권, 제1호, pp.79-102, 2006.

Cited by

  1. Public Officials' Perceptions on Improving Quality of Community Health Care Service vol.14, pp.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223
  2. Content Analysis of Webzine for Gist-based Health Message Design vol.14, pp.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