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ause-and-Effect Analysis betwee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Residential Area at the University Dormitory and the User Satisfaction

대학 기숙사 주거기능영역의 환경인자와 사용자 만족도의 인과분석 연구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functional spaces within university dormitory, examine the influenc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users' satisfaction through what parameters and probability among these parameters and seek improvement methods for dormitory users to live at dormitory as the best residential space through causal analysis of residential space uses at university dormitory based on such a probability. Research methods include theoretical research of architectural spac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dormitory facilities through literature survey,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spaces and their uses through questionnaire and causal analysis of each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 after making route model using data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actors affecting residents' satisfaction with cultural activiti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are safety, territoriality, interior finishing and complexity and those affecting residents' educational activities are safety and amenity of space. Residential function space of university dormitory must have spatial planning that social activities including individual and small group culture and educational activities from the view of spatial territoriality and flexibility based on safety and amenity and facilities related to continuity and connection of common space and unit residential space should be decentralized rather than centralized.

Keywords

References

  1. 안옥희, 대구권 대학기숙사의 시설현황 및 거주자의 사용실태, 한국주거학회지 제8권 3호, 1997
  2. 장성준, 수도권대학 신규 캠퍼스 학생주거와 대학촌 개발연구, 대한건축학회 제8권 7호, 1992
  3. 이강주, 초고층 사무소 건축계획을 위한 건물평가 모델 설정, 대한건축학회 계획계 논문집, 18권 4호, 2002
  4. 정훈, 대학기숙사 시설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2005
  5. 양지숙, 대학기숙사 단위실 가구계획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 학원 석사논문, 1994.
  6. 안경환, 공동주택 환경설계를 위한 POE방법론 설정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권 8호, 1993. 8
  7. 서유석, POE연구체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4권 12호, 1998. 12
  8. 노형진, SPSS에 의한 다변량 데이터의 통계분석, 2007
  9. 하수길, 대학기숙사의 유형변화에 따른 기능별 Space program에 관한 연구 : 국립대학 기숙사를 대상으로, 慶尙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10. 鄭井甲대학기숙사 건축의 평면유형별 거주 후 평가 : 전남, 광주지역 소재 대학기숙사를 대상으로, 全南大學校, 2002
  11. 이기양, 지형 구축화를 통한 개방된 대학시설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 교 기숙사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12. 정훈, 대학기숙사의 시설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 전라남도, 전라북도지역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5
  13. 이정원, 대학 기숙사 유니트 평면 개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 노디자인전문대학, 2004
  14. 서정훈, 新世代 大學生 意識變化에 따른 寄宿舍 環境 改善에 관한 硏究 , 慶雲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3
  15. 정병갑, 대학기숙사 건축의 평면유형별 거주 후 평가, 전남대학교 산업 대학원, 2002
  16. 임병화, 大學 寄宿舍의 建築計劃에 關한 硏究: 최근의 계획 경향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01
  17. 신영길, 大學寄宿舍 單位室의 情報化環境計劃, 충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18. 조현진, 대학 기숙사 단위공간의 실내디자인에 관한 硏究, 弘益大學校,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