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양질토와 혼합처리된 국내 하상토의 제체재료로서의 침투특성

Seepag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Bed Sediments Mixed with Good-quality Soil as Levee Fill Material

  • 최봉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방재.환경연구실) ;
  • 김경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방재.환경연구실) ;
  • 김진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방재.환경연구실) ;
  • 이대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방재.환경연구실)
  • Choi, Bong-Hyuck (Geotechnical Disaster &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KICT) ;
  • Kim, Kyung-Min (Geotechnical Disaster &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KICT) ;
  • Kim, Jin-Man (Geotechnical Disaster &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KICT) ;
  • Lee, Dae-Yeong (Geotechnical Disaster &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KICT)
  • 발행 : 2008.10.31

초록

하천제방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서는 양질의 성토재료 사용, 철저한 다짐관리, 적절한 수리구조물 및 차수벽 설치 등이 필요하다. 특히, 하천제방 축조를 위한 양질의 성토재료는 하천제방의 안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하상토의 제방 성토재로서 적합성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국내 하상토의 제체재료로서의 침투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하천설계기준(2005)의 제체 표준단면을 이용한 모형시험과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국내 발생 하상토의 경우 대부분이 모래(SP)로서 하천설계기준 제체재료의 투수계수 ($10^{-3}cm/sec$ 이하)를 만족시키지 못하였으며 양질토 혼합 및 함수비 조정 등과 같은 안정처리공법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improve the stability of levee structure, it is required to use good quality fill materials, intensive management, appropriate hydraulic structure and construction of cut-off wall. In particular,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levee construction technology is to use bed sediment for its safety. In this study, seepage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a standard section of levee recommended in the river design standard of korea (2005). The results of test and analysis show that most of the bed soil is a sand (SP in USCS), which does not satisfy the permeability criteria for levee materials ($< k=10^{-3}cm/sec$), thus for the safety of levee it is required to adopt a stabilizing method such as good quality soil mixing, water content control.

키워드

참고문헌

  1. 임동균, 여홍구, 김규호, 강준구(2006), 제방 침투 수치해석 모형의 적합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 39권 3호, pp.241-252 https://doi.org/10.3741/JKWRA.2006.39.3.241
  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4), 하천제방 관련 선진기술 개발, 건설교통부
  3. 한국수자원학회 (2005), 하천설계기준.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