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물 제1167호 청주 운천동 출토 통일신라 범종의 형태와 보존과학적 특성 고찰

A Review on Treasure No.1167, Unified Silla Buddhist Bell from Uncheon-dong, Cheongju, about Its Form and Conservational Scientific Features

  • 발행 : 2007.12.30

초록

현재 통일신라 범종은 한국에 6점, 일본에 5점, 기타 2점 등 총 13점이 알려져 있으며, 이중 3점은 형태추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형태추정이 가능한 10점을 이용하여 범종의 형식을 구분하고, 이중 운천동 종의 조사 자료를 토대로 기존에 과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통일신라 청동범종과의 연계성을 찾아보고 조성비를 중심으로 한 제작기술의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통일신라 범종의 도상분석은 2가지 형식으로 나누었는데, I형식은 좌우대칭 비천과 정형성의 문양 배치구조를 갖는 전기종의 모습이며, II형식은 좌우비대칭 비천과 비정형성의 문양 배치구조를 띄는 후기종의 모습이다. 특히 운천동(雲泉洞) 종은 9세기 고묘지(光明寺) 종과 매우 흡사한 문양형태를 보이는 후기 종으로, 통일신라주악비천에서 전혀 보이지 않았던 종적(縱笛)을 연주하고 있는 것이 특이할 만하다. 통일신라 범종은 대부분 합금배합구성이 Cu-Sn, Cu-Sn-Ph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8세기와 9세기에 걸쳐 구리, 주석, 납을 골고루 사용하여 주종(鑄鐘)하였고, 고대 중국 "주례(周禮)" "고공기(考工記)"의 청동합금비와 근접하게 나타났다. 특히 운천동 종은 Cu-Sn-Ph-As 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통일신라 범종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은 As가 검출되어 이에 대한 관련 자료를 제시하였다. As는 Pb사용 성격과 유사하나 재질의 특성상 고온에서 쉽게 휘발되기 때문에 사용상에 어려움이 있으나, 제품을 단단하게 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h는 주물의 유동성을 좋게 하여 문양을 잘 표현하게 하고, As는 제품의 강도를 높여줄 수 있다.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 구체적 산지추정은 어려웠으나 시료의 분석 결과를 통하여 종 제작에 있어 한 광상의 재료를 사용했다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었다.

At present, thirteen Buddhist bells of Unified Silla are known to the world: Six in Korea, five in Japan and two other bells, and three out of them are impossible to make out its original form. Therefore, we divided the form of Unified Silla Buddhist bells based on the ten other bells, and we tried out to prove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by the comparison of the research material of Uncheon-dong bell and existing research materials of other bells, in other to find their linkage based on the alloy elemental composition. We divided Unified Silla Buddhist bell into two types: Type I has symmetric apsaras and regular patterns on its face and it was made in early Silla period; type II has asymmetric apsaras and irregular pattern arrangement and made in late Silla period. In particular, Uncheon-dong Buddhist bells is very similar to Komyoji[光明寺] temple bell from ninth century in Japan. It is peculiar that the apsaras on Uncheon-dong bell play vertical music instruments that are never seen in Unified Silla Buddhist bell. Most of Unified Silla Buddhist bell are compounded with Cu-Sn or Cu-Sn-Pb system. From eighth and ninth century, bells were cast with even composition of copper, tin and lead, and the bronze alloy ratio was similar to the record in Gogonggi[考工記], Jurye[周禮], a book from ancient China. Particularly, Uncheon-dong bell is in a rare case of Cu-Sn-Pb-As system. As had been rarely used in Unified Silla Buddhist bells, so we presented the relative research materials. As has the same nature as Pb. Because As easily volatilize at high temperature, it is hard to use. But it has its merit of solidity and durability. Pb enhances fluidity and thereby expresses the patterns more distinct; As makes the bell stronger. The result of lead isotope ratio could not exactly reveal a concrete producing center. However, over the analysis of our samples, hereby we suggest Uncheon-dong bell was made of materials from just one ore deposit.

키워드

피인용 문헌

  1. 분석자료를 기초한 고대 납유리와 녹유의 특성 연구 vol.24, pp.None, 2007,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20.24.0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