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성 문암리유적(古城 文岩里遺蹟)을 통해 본 신석기시대 평저토기문화의 전개

A study on the flat-bottom pottery culture in the early Neolithic Age focusing on Goseong Munam-ri site

  • 김은영 (동경대학대학원 고고학연구실)
  • Kim, Eun-young (Field of Archaeology Graduate School of Humanities and Sociology The University of Tokyo)
  • 발행 : 2007.12.30

초록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에 한반도 중동부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던 평저토기는 고성 문암리유적의 발굴을 통해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변천을 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압날문토기 자체의 변천과 융기문토기의 등장 및 양자의 관계 등에 많은 과제를 던지고 있기도 하다. 한편, 고성 문암리유적의 토기를 비롯 석기, 토제품, 장신구 등 다양한 물질문화에는 두만강 하류지역과 남부지역과의 영향관계가 잘 반영되어 있어, 양지역과의 관련성을 엿볼 수 있었다. 특히, 중동부지역과 두만강 하류지역간의 영향관계보다 남부지역과 중동부지역간의 영향이 보다 광범위한 기종에, 그리고 공유의 차원이 제작기법과 같은 부분에까지 미치고 있었음을 알았다. 이 사실은, 남부지역에 일시적으로 중동부지역 사람의 이동 내지는 분포범위의 확대를 통한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해 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Owing to the excavation of Goseong Munam-ri site, there has much advance in study of chronology of the early Neolithic Age flat-bottom potteries distributed in the mid-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Relics such as stone tools, clay products, ornaments as well as potteries from Goseong Munam-ri site reflect cultural relation with Boisman culture in Duman river basin area and with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Common features can be found in some potteries, arrowheads, scrapers, and sinkers from Boisman culture and Goseong Munam-ri site. There are much more common features in pottery and earring-making techniques observed in Goseong Munam-ri site and the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r. Thus it may be possible to analogize migration or spread of people from the mid-eastern part to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