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후기 문학에 나타난 음식문화 특성 - 판소리 다섯마당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od Culture of Literature in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 Focused on Five Pansori texts into written form-

  • 김미혜 (호서대학교자연과학대학식품영양학과) ;
  • 정혜경 (호서대학교자연과학대학식품영양학과)
  • 발행 : 2007.09.30

초록

This study presents the food culture as analysis food material, food and cooking tools in the novel literature and examines the food as a code of current cluture of common social through five Pansori texts among the twelve Pansori texts into written form. It is a many Pansori, but this study is analysed to select early copying papers. It can be found rice, Kimchi, salted fish as the common people food in Simchong-ga text. It can be known characteristics of Jeolla-do Area food used many food material and acceptance of foreign crops in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in Chunhyang-ga text. In Hungbo-ga text, it can be found the popularity food is rice cake and meat and looked the special feature of dog meat, rice cake, scorched rice-tea. In Toebyol-ga text, it can be looked many sea food and medicine beverages, and in Chokpyok-ga text, it can be found peculiarity of drink for making excitement during a war. Moreover, in five Pansori texts, that is seemed characteristics such as cover of tableware, spoon and chopsticks, tableware china, a cauldron, a charcoal burner, a brass chafing dish, a table, a flail and a mill.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중앙박물관 편저. 2002. 조선시대 풍속화. 한국박물관회. 서울. p166
  2. 고경희. 2003. 조선시대 한국풍속화에 나타난 식생활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8(3):211-225
  3. 김광순. 1990. 한국고소설사와 론. 새문사. 서울. pp496-497
  4. 김상보. 2006.조선시대의 음식문화. 가람기획. 서울
  5. 김진영, 김현주. 1997a.심청전. 박이정 출판사. 서울
  6. 김진영,김현주,김희찬 편저. 1997b. 춘향전 전집1. 박이정 출판사. 서울
  7. 김진영, 김현주 역주. 1997c. 흥보전-오영순 소장 장흥보전, 임형택 소장 박흥보전. 박이정 출판사. 서울
  8. 김진영, 김현주, 김동건, 이성희 편저. 1997d. 토끼전 전집1.박이정 출판사. 서울
  9. 김진영, 김현주. 1997e. 적벽가 전집1. 박이정 출판사. 서울
  10. 김희선. 1987. 조선후기 사회.경제적 변동이 식생활에 미친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pp54-56
  11. 로저키징, 전경수 역. 1984. 현대문화인류학. 현음사. 서울. p94
  12. 박대복. 1995. 고소설과 민간신앙. 계명문화사. 서울 p236
  13. 박여성. 2003. 융합기호학(Synchretische Semiotik)의 프로그램으로서의 음식기호학. 기호학 연구, 4(0):136-139
  14. 박일용. 1993.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서울. p273
  15. 변태섭. 2003. 한국사통론. 삼영사. 서울
  16. 서봉순. 1995. 한국조리. 지구문화사. 서울. p58
  17. 안용근. 1999. 한국의 개고기 음식에 대한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2(4):400-401
  18. 유영대. 1993. 판소리의 소설적 전개. 집문당. p354
  19. 윤서석. 1992. 한국음식-역사와 조리법. 수학사. 서울
  20. 윤서석. 1995. 한국의 자연과 식생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0(3):208
  21. 윤서석. 1999a. 식생활문화의 역사. 신광출판사. 서울. p93
  22. 윤서석. 1999b 식생활문화의 역사. 신광출판사. 서울. pp329-333
  23. 이성우. 1982. 조선시대 조리서의 분석적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서울
  24. 이성우. 1988. 한국전통 발효식품의 역사적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3(4):331-339
  25. 이성우.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 고요리서(III). 수학사. 서울. pp843-849
  26. 이성우. 1997a. 한국식품문화사. 교문사. 서울. pp214-237
  27. 이성우. 1997b. 한국식품문화사. 교문사. 서울. pp261-262
  28. 이은옥. 2003. 조선후기 식기 및 음식의 특색과 변화.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pp16-18
  29. 이종미. 1992. 한국의 떡 문화 형성기원과 발달 과정에 관한 소고.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7(2)
  30. 이춘녕. 1964. 이조농업기술사. 한국연구원. 서울. pp57-89
  31. 조흥윤. 1998. 한국 음식문화의 형성과 특징.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3(1):1-8
  32. 주영하. 김소현, 김호, 정창권. 2005 오주연문장전산고를 통해 본 조선후기 생활문화. 돌베개. 경기 파주. p140
  33. 주영하. 2005. 그림속의 음식, 음식속의 역사. 사계절. 경기 파주. p67
  34. 주영하. 2006. 음식전쟁 문화전쟁. 사계절. 경기 파주. p148
  35. 하은아. 2004a. 한국 근대적 문물 변천과정의 통시적.공시적 분석을 통한 디자인 발전과정의 해석-식생활관련 제품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pp99-102
  36. 하은아. 2004b. 한국 근대적 문물 변천과정의 통시적.공시적 분석을 통한 디자인 발전과정의 해석-식생활관련 제품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pp127